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깐깐보써니
깐깐보써니

내일밤은 유성우가 더 많이 떨어지는날이라고 합니다.

내일은 유성우가 한시간 동안 많이 떨어진다고 해요 유성이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이며 이렇듯 정해진 시간에 많은양의 유성이 떨어지는 까닭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유성이란 태양계 공간을 떠돌아다니던 돌멩이나 먼지 등이 지구 중력에 이끌려 대기권으로 진입하면서 대기와의 마찰로 인하여 열이 발생하고 빛을 내는 존재로서, 밤하늘에서 흐르는 별처럼 보이므로 유성이라고 하고 보통 별똥별이라고도 하지요.

    태양계 공간은 여러 가지 이유로 청소가 잘되어 있어서 거의 완벽한 진공 상태이지만, 혜성이 지나가면서 흩뿌린 물질들은 상당히 긴 시간 동안 혜성의 궤도를 따라 돌면서 점점 흩어지다가 마침내 태양계의 작은 떠돌이가 됩니다. 혜성은 원래 태양계 외곽 지역에서 떠돌던 10여 km 정도의 더러운 얼음덩어리였는데, 어떤 이유 때문이든 태양계 안쪽으로 떨어져 들어오게 되면 온도가 올라가고 얼음이 기화되면서 표층물질이 떨어져 나와 코마와 꼬리를 만듭니다. 어느 날 갑자기 장엄한 모습으로 밤하늘에 혜성처럼 등장하는 혜성의 코마와 꼬리는 태양 빛을 잘 산란시킴으로써 우리 눈에 보이는 존재이지만, 혜성이 지나가고 난 후 곧 흩어져서 태양계 공간의 떠돌이가 되고 다행히(?) 지구를 만나면 유성으로 변신하면서 잠깐 빛을 냅니다.

    앞에서 보았듯이 혜성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이탈 물질들은 혜성의 원래 궤도를 따라 공전하다가 점점 흩어지는 바, 지구가 어떤 혜성의 공전궤도 부근을 지나다 보면 확산하는 물질들을 만날 기회가 많아집니다. 어느 경우에는 과장된 표현이지만 유성이 비처럼 많이 떨어진다고 하여 유성우라고도 합니다. 지구에서 보면 혜성의 궤도는 특정 시기에 특정 방향의 별자리 방향에서 보이고, 유성우는 그쪽 별자리 방향에서 쏟아지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므로 유성우는 복사점 별자리로 명명되는데, 오늘내일 예상되는 페르세우스 유성우와 11월 중에 예상되는 사자자리 유성우가 유명합니다. 아래 사진은 초광각 카메라로 장시간 노출하여 찍은 사자자리 유성우인데, 비교적 활발한 유성우에서 관측되는 유성은 시간당 100여 개 정도입니다.

    보통 날의 밤하늘에 보이는 유성은 혜성 궤도로부터 오래전에 흩어져 태양계 공간을 떠돌아다니다가 우연히 지구와 만나 빛나는 경우인데, 시간당 10여 개 정도 관찰됩니다. 지구의 공전 방향과 자전 방향을 고려하면, 떠돌이 유성은 초저녁보다 자정 이후에 많이 관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유성이란 우주에서 지구 대기권으로 들어오는 작은 암석 조각이나 먼지입자들이 대기와 만나게 되면서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마찰로 인하여 밝게 빛나는 현상입니다! 우리가 흔히 별똥별이라고 부르는 현상이지요~ 대부분의 유성체는 매우 작으며 크기가 몇밀리미터박에 되지 않기에 대기권에 진입하면 거의 대다수가 소멸하게 되는데 그렇지 않고 지표면으로 오게 되면 우리는 이것을 운석이라고 이야기하지요! 유성우란 많은 유성들이 짧은 시간동안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보통 특정한 시기나 날짜에 예측이 가능하며 지구가 매년 같은 시기에 특정한 궤도를 지나가면서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혜성이나 소행성등의 잔해들 구름을 통과하기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현상이지요! 이들이 지구 중력에 의해서 끌려들어오면서 지구 대기권으로 진입하게 되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잔해들은 주로 지구가 특정한 방향을 볼때(자전에 의해) 잔해 구름과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시간대(보통 자정 이후 새벽시간)에 많이 보이게 됩니다! 날이 매우 더워요!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