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0년대 템즈강이 악취가 심한 이유와 오염의 원인이 무엇인가요?
1850년대 템즈강이 악취가 매우 심하고 오염이 심하다고 들었습니다.
당시 템즈강의 악취와 오염이 어느정도 였으며 원인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산업 혁명 당시 온갖산업폐수와 쓰레기, 정화되지 않은 생활하수의 유입으로 인해 속된 말로 똥물로 악명이 높았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흔한 편견과 달리 중세시절 때에는 생각보다 세심하고 엄격한 수질관리가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1383년에 센트럴 런던에 있는 작은 유역의 하나인 월브룩(Wallbrook)천 상류에 있는 땅을 파고 만든 모든 화장실 소유주에 대하여 매년 템스강 청소비로 2실링을 부과하는 법, 이어서 1388년에는 개천이나 하천 공기를 오염시키는 일을 규제하는 법이 제정되기도 하였고, 헨리 8세 때인 1535년에는 쓰레기나 오염물질을 함부로 강에 버리지 못하도록 하였습니다.
1800년대 초까지는 런던의 수산시장에서 연간 3천만 마리가 판매될 정도로 연어가 많이 잡히던 템스강이었습니다. 그러나 1833년을 기점으로, 런던 다리를 통과한 연어를 마지막으로 바다로 갔다가 되돌아오는 연어가 사라져 버릴 정도로 강물이 상당히 오염되었고, 설상가상으로 산성비까지 내리면서 오염이 빠르게 가속화되었습니다. 당시 시대상 환경오염을 경계하는 의식이 적었기에, 온갖 산업폐수와 쓰레기, 생활하수가 정화되지 않은 채 템스강에 그대로 유기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산업 혁명 당시 똥물로 악명이 높았습니다.
산업 혁명기 당시 런던의 인구는 이촌향도 현상으로 급속히 늘어났고, 이로 인해 기존의 법령과 시내 공중화잘실만으로 쏟아져 나오는 폐기물량을 따라갈수 없는 상황이었고, 1883년을 기점으로 런런 다리를 통과한 연어를 마지막으로 바다로 갔다가 되돌아오는 연어가 사라질 정도로 강물이 오염, 산성비까지 내려 오염이 빠르게 가속화됩니다.
당시 시대상 환경오염을 경계하는 의식이 적어, 산업폐수와 쓰레기, 생활하수가 정화되지 않은 채 템스강에 그대로 유기되었고, 이때 수세식 화장실이 본격적으로 영국의 가정에 확산, 정화조가 있는 현대식이 아닌 각 가정의 화장실에서 배출된 오물이 하수도를 따라 템스강으로 흘러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