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옹골진발발이
옹골진발발이

신용점수가 2가지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옹골진발발이입니다.

대출을 위해 신용점수를 계산하면 두 종류의 신용점수가 나오는데 이렇게 두가지 신용점수가 나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신용점수가 두 가지인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KCB, NICE 두 가지가 있는데 이는 두 가지 다른 신용점수라기 보다는

    신용평가사가 두 곳인 것입니다.

  • 신용점수가 두 가지인 이유는 국내 대표 신용평가사인 KCB(코리아크레딧뷰로)와 NICE(나이스평가정보)에서 각각 신용점을 평가하기 때문입니다. 두 기관은 서로 다른 기준을 적용하여 신용점수를 산출합니다.

    KCB는 신용카드 사용 패턴, 대출 상환 이력, 연체 정보, 보증 정보, 신용거래 기간 등을 평가합니다. 이들은 개인의 소비 습관과 신용 리스크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반면, NICE는 대출 상환 이력과 신용카드 사용 패턴을 기본으로 하며, 소득 정보와 직업 정보도 고려합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KCB와 NICE에서 산출된 신용점수는 다를 수 있으며, 금융기관은 대출을 결정할 때 두 신용점수를 모두 참고하여 대출 금리와 한도를 결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점수에도 한 가지만 있다면 공정성과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보니

    대표적으로 2가지로 많이들 표현됩니다.

    그리고 은행마다 신용점수의 기준이 조금씩은 다르기에 더 맞는 신용도를 채택하기도하여서

    나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 2가지 신용점수가 산출되는 것은

    신용평가 기관이 2개이기에 각기 다른

    점수로 산출되는 것입니다.

    해당 평가항목들은 같으나

    비중 등이 다소 차이가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신용점수를 산정하는 기관은 공기업이 아니기 때문에 2곳의 사기업에서 서로 더 정확한 신용점수를

      산정하기 위해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 그래서 nice와 kcb의 두가지 점수가 존재하는 것이고 큰 흐름에서는 신용점수가 비슷하겠지만

      디테일하게 들어갈수록 두 회사간에 신용점수를 평가하는 부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점수가 두 가지로 나오는 이유는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신용평가기관이 두 곳이기 때문입니다.

    한국에는 "나이스평가정보(NICE)"와 "KCB(코리아크레딧뷰로)"라는 두 주요 신용평가사가 있습니다.

    이 두 기관은 서로 다른 기준과 알고리즘을 사용해 개인의 신용도를 평가합니다.

    NICE와 KCB는 각각 개인의 대출 이력, 상환 패턴, 신용카드 사용 등 여러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신용점수를 산출하지만, 점수 계산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사람이라도 신용점수가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 기관이 특정 요소의 비중을 다르게 두거나 데이터 처리 방식이 달라서 발생하는 차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