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irp 계좌 안전자산 조건에 들어가는지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irp계좌는 일정 비율을 무조건 안전자산으로 채워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irp 계좌 안전자산 조건에 들어가는지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IRP 계좌의 안전자산 조건에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확실한 방법은 계좌를 개설한 금융기관에 직접 문의하는 것인데, 어떤 상품들이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지 정확한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고, 각 상품의 설명서에도 안전자산 포함 여부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예금, 적금, MMF, 원리금 보장형 상품이나 채권형 ETF 등이 안전자산으로 분류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IRP 앱에서 상품 유형이 원리금 보장형, 예금, 보험, MMF, RP로 표기되면 안전자산입니다.

    상품 설명서와 잔고 화면에 안전자산 비율이 별도 표시됩니다.

    월말 기준 비율 미달 시 자동 안내가 오니 그때 재배분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IRP 계좌에서 상품이 안전자산인 확인하기 가장 쉬운 방법은 증권사나 은행의 퇴직연금/IRP 매매 시스템에서 직접 확인하는 것 입니다. 해당 시스템에서 정기예금, ELB(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 등의 원리금 보장 상품은 100%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며, 펀드/ETF 등 실적 배당형 상품은 상품 검색 시 ‘안전자산’ 여부 또는 위험 등급을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IRP는 위험자산을 70%이하로 제한하며, 안전자산(원리금 보장 또는 위험 분산 상품)을 30% 이상 의무적으로 편입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IRP 계좌에서 안전자산에 해당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마도 적금, 예금, 그리고 국채 정도만이

    안전자산으로 해당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IRP 안전자산 조건은 총 적립금의 30% 이상을 의무적으로 보유하는 것입니다. 안전자산 여부는 계좌 개설한 금융사 앱/웹사이트에서 상품 조회 시 확인하며, 보통 상품 설명에 '투자한도 100%'로 표기되거나 '안전자산'으로 분류됩니다.

    일반적인 안전자산은 정기예금, RP, 국공채, 원리금 보장형 상품 등이며, 주식 등 위험자산 비중이 낮은 특정 펀드/ETF도 포함됩니다.

    확실하지 않다면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회사 퇴직연금 담당 부서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투자 기준 매수 희망종목 선택하시면 투자한도 00%로 되어있습니다

    00이 70이면 위험자산, 100이면 안전자산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