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순수한 물만 나오는 건가요??
우리가 찌개를 끓이고 나서 냄비를 열어보면 항상 냄비에 물이 맺혀져 있잖아요. 근데 이건 궁물에서 나온 물인데 왜 궁물 전체(색이 있는 액체)가 안나오고 순수한 물만 맺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찌개를 끓이고 난 뒤 냄비 뚜껑에
순수한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은
증발과 응결 과정 때문입니다
찌개가 끓을 때 물과 다른 성분들이 혼합된
궁물에서 물 분자는 열에 의해 가스 상태로
증발합니다
이때 물론 다른 성분들도 함께
증발할 수 있지만 용해된 고체 성분들은
물보다 훨씬 더 높은 온도에서
증발하기 때문에 대부분 궁물에 남게 됩니다
증발된 물 분자가 냄비 뚜껑에 닿으면
뚜껑의 더 낮은 온도 때문에 가스에서
액체 상태로 다시 응결됩니다
이 과정에서 형성된 물방울은 다른 용해된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순수한 물이 되는데
이것이 뚜껑에 맺힌 물방울의 이유입니다
즉 뚜껑에 축적되는 것은 궁물이 아닌
증발 후 응결된 순수한 물입니다
이 현상은 증류 과정과 유사하며
증발된 액체의 성분을 분리할 때
널리 사용되곤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냄비에서 끓는 국물의
물은 증발하고 다시 응결되지만
증발하기 어려운 다른 성분들은
냄비에 그대로 남게 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