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4일제가 도입이 되면 경제에 도움이 될까요?
주6일제에서 주5일제가 도움될 당시에도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는 데요.
제 생각에는 그러나 주말 2일동안 소비를 통해 경제가 선순환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주4일제가 도움되었을 때, 현재보다 더 경제에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복지적인 측면에서는 주4일제를 하여 국민을의 생활이 더 윤택해질 것으로 생각되며, 일부에서 우려하는 것과 같이 기업경영에 큰 위험이 닥치거나하지 않을것같다는 의견입니다. 오히려 경제에 소비를 활성화시키므로 긍정적측면도 존재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사회적인 인식 합의 등이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서서히 주4일제가 진행되지 않을까 싶어요.
문의하실바와 같이 주5일제가 도입될당시 부정적시각이 많았지만 현재는 주5일제가 당연시되고 있듯이
먼 미래에는 주4일제가 당연시되는 세상이 오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 4일제와 같은 경우 일반 개인들의 소비가 증가할 가능성이 커
경제가 활력이 돌고 생산성이 높아지는 장점과 더불어 여유시간을 활용하여
각종 다른 분야의 사회구조가 편성됨에 따라서 경제적인 이점이 생긴다는
주장도 있으나, 현재보다 생산성이 더 떨어진다는 의견도 있고 근로자들의
업무량이 과연 줄어든 일수만큼 처리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큰 등
알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네, 결국 언젠가는 시행이 될 정책이고, 아무래도 하루 여가가 더 생기면 이 때 사람들이 소비를 더 하려할 것이므로 내수시장을 활성화 하는데 있어서는 분명한 도움이 될 것이고 국민행복도를 높여 경제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4일제를 하고 소득이 감소하지 않는다면, 예를 들어 금토일을 쉴 경우 소비가 현재보다 활성화되는 측면이 있습니다. 단, 소득이 증가하지 않는 상황에서 휴일만 늘어난다면 총 소비가 증가하지 않을 것이라는 일부 주장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 여러 기업이나 의료 기관(연세의료원 등) 등에서 주4일제를 시범 운영하며 효과를 검증하고 있는데 대부분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피드백이 많습니다. 그 이유는 아래 기사 링크와 같이 여가 시간 증가와 수면시간 증가(평균 약7.6시간)를 원인으로 꼽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판데믹 이후 재택근무 효용성 검증, 각종 기술 접목으로 인간의 노동 시간 자체는 점점 줄어들고 고도의 창의력과 다차원적 사고 능력이 더 중요해 져서 충분한 휴식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작업 환경 조성이 더 중요해 질 것으로 판단됩니다.
1990년대 후반까지는 주6일 근무, 2000년대 초반까지 격주 토요일 근무를 했던 바 있고 2000년대 중후반부터 전사업장 주5일 근무가 시행되고 있는데 생산성 등에 있어 큰 차질은 현재 없습니다. 주 4일 근무도 동일 관점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55200?sid=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