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영리한늑대192
영리한늑대192

3차 멸균 정제수와 3차 증류수의 차이?

현재 3차 정제수를 사용중인데 멸균이 되어있으면 3차 증류수와 성분적으로는 같다고 볼 수 있나요?

다르다면 둘의 차이점이 단순 제조 공정 이외 어떤점이 다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제수와 증류수는 만드는 과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정제수는 상수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여과하여 각종 무기물및 유기물이 제거된 순수한 물입니다.

    반면에 증류수는 수돗물이나 우물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고, 수증기를 다시 냉각시켜 얻은 물입니다. 가열하기 전의 물 속에는 각종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를 가열하면 불순물은 그대로 남아 있고 순수한 물만 수증기가 되기 때문에, 이를 모으면 불순물이 섞이지 않은 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증류 과정을 거친 횟수에 따라 증류수를 1차 증류수, 2차 증류수, 3차 증류수 등으로 부릅니다. 한 번의 증류로 불순물이 100% 제거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순도가 매우 높은 물이 필요할 때는 1회 증류한 물에 소량의 과망간산칼륨을 가해서 다시 증류한 재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죠.

    그리고 말씀하신 3차 멸균 정제수와 3차 증류수의 주요 차이점은 앞서 말씀드린 제조 과정과 그 결과로 얻어지는 물의 순도입니다. 3차 멸균 정제수는 여러 단계의 정제 과정을 거쳐 순수한 상태로 만들어진 물이며 3차 증류수는 세 번의 증류 과정을 거쳐 얻어진 순수한 물입니다.

    참고로, 멸균 증류수의 경우 의약품으로 분류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