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냉철한줄나비274
냉철한줄나비27423.05.02

'딱풀'은 종이와 직물은 잘 붙는 반면에,

'딱풀'은 종이와 직물은 잘 붙는 반면에 유리나 플라스틱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왜 달라붙지가 않는 것인가요?

딱풀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으로 인해서 그런 것인가요?

보통의 딱풀은 어떤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왜 위와 같은 특성이 있는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2

    안녕하세요. 이성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건들의 울퉁불퉁한 표면에 있는 작은 틈새를 접착성분이 메우고 중합반응을 일으켜서 두 물체가 접착되도록 합니다. 하지만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은 물체의 표면은 다른 것들 보다 상대적으로 틈이 적어서 딱풀로 두 물체를 붙이기 어려운 것입니다. 이러한 표면이 매끄러운 물체를 붙이기 위해서는 보다 강력한 고분자 화합물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종이나 직물은 거친 표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딱풀이 잘 달라붙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유리나 플라스틱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어 딱풀이 달라붙지 않습니다.


  • 딱풀에 포함된 물질인 '접착제'가 종이나 직물과 같은 다공성 표면에 잘 달라붙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은 부드러운, 매끄러운 표면에는 접착제가 스며들지 못하기 때문에 딱풀이 잘 달라붙지 않습니다. 이러한 표면에 접착제가 흩어지거나, 표면에 달라붙지 못한 상태로 남아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