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훈훈한너구리239
훈훈한너구리239

탈중앙화 거래소를 이용해 봤는데요, 불편한 점들이 개선될 수 있을까요?

오늘 무료로 에어드랍 받은 토큰이 있어서 ERC20 토큰들을 거래하는 탈중앙화 거래소를 이용해 봤어요.

그런데 지갑을 연결하는 것도 그렇고 제가 써 왔던 일반 거래소보다 속도도 느리고

주문도 많지 않고 사자 주문하고 팔자 주문의 차이가 너무 크더라고요.

이런 탈중앙화 거래소의 불편한 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답변 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까칠한담비242
      까칠한담비242

      질문자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일반적으로 탈중앙화 거래소가 중앙화 거래소보다 속도가 느리고 유동성의 공급이 좀 더 부족한 것이 사실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런 프로젝트들 중에서 유명한 것이 0x 프로토콜(ZRX)이나 OneRoot(RNT)의 R1 Protocol 등이 있습니다.

      0x 프로토콜의 경우 DDEX와 RaderRelay 거래소가 유명하고 OneRoot의 R1 Protocol 기반의 대표적인 거래소는 Bithumb DEX와 Rootrex입니다.

      0x 프로토콜이나 OneRoot R1 프로토콜의 경우 릴레이어라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유동성을 공유하는 생태계를 만들려고 하는데, 예를 들어 0x 프로토콜이나 R1 프로토콜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가 늘어나게 되면 A라는 사람이 빗썸 덱스를 통해 주문을 내면 Rootrex라는 다른 탈중앙화 거래소에서도 그 주문을 받아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즉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탈중앙화 거래소끼리 매수, 매도 주문을 공유하게 되는 것이죠.

      또한 거래 속도에 대해서 말씀해 주셨는데요, 위의 프로토콜들은 거래와 관련된 필수적인 처리 과정만 온체인에 기록하고 나머지는 오프체인 상에서 빠르게 처리함으로써 탈중앙화 거래소이지만 거래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끝으로 포크 델타, 이더 델타, 이더 플라이어, 토큰 자 거래소의 경우 탈중앙화 거래소 중에서도 사용 경험이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제가 위에서 예로든 거래소를 이용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