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대범한대벌래6
대범한대벌래624.03.12

암호화폐에서 POW와 POS는 어떻게 다른지요?

암호화폐의 채굴(mining)방식으로 POW와 POS가 있다고 하는데 이 둘은 어떻게 다르며 풀 스펠링은 어떻게 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청렴한벌27입니다.


    Proof Of Work

    쉽게 말해서 장비로 코인을 채굴하는 방식을 의미


    Proof Of Stake

    본인이 보유한 암호화폐에 따라 코인 습득


  • 안녕하세요. 말쑥한왈라비203입니다.

    pow방식(Proof of work) 방식은

    여러 컴퓨터에게 여러 조건 속 연산을 맡겨 경쟁시켜 알맞은 값을 찾으면 블록으로 만들고,

    그것을 다수의 (과반수의) 검증자(작업을 하고 있는 다른 컴퓨터)에게 이 값을 합의 알고리즘에 의해 검토시키고

    이를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것으로 기록, 혹은 저장해 보안을 유지하며

    네트워크는 검증자에게 보상(암호화폐)을 주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새로 생성되는 정보를 바꾸기 위해선 (전까지 생성된 블록은 변경할 수 없음) 컴퓨터 파워(연산속도)의 51%(과반수)의 검증자를 본인의 편으로 만들거나, 본인이 검증을 해야 하는데 (중앙화)

    거대한 코인들(예를 들어, 비트코인) 은 51% 이상의 지분을 가지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해킹할 수 없는 화폐라고 하는 것이죠.

    설령 가진다고 해도 남은 49%에게 들킨다면 네트워크에서 추방당할 수 있습니다.

    (도지코인 같은 코인은 애초에 탈중앙화 되지 않은 개발자가 바꿀 수 있는 코인입니다.)

    이 해킹할 수 없다는 것이 암호화폐를 지탱하는 거대한 기둥입니다.

    그에 비해 Pos(Proof of stake) 방식은 연산을 하지 않습니다.

    해당 암호화폐 신뢰를 가진 검증자가 일정 이상의 해당 암호화폐를 네트워크에 넣어두면

    가장 많은 지분을 가진 사람부터 랜덤으로 블록을 생성할 권한을 갖죠.

    이를 지분 증명이라고 하고, 마찬가지로 해당 네트워크의 지분율 (자신이 암호화폐 51% 이상을 가지면

    여기서 생성되는 블록을 바꿀수도 있겠지만(해킹), 이 중에 네트워크에서 추방당하게 된다면

    본인이 가지고 있는 51%의 자산을 잃을 위험을 감내해야 하고

    만약 이를 통해 해킹을 성공해도 해당 암호화폐의 가치가 폭락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해킹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고, 큰 의미가 없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Pos방식은 이를 이용해 해킹을 방지해 해킹할 수 없게 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Pow방식은 굉장히 많은 전기와 컴퓨터 파워의 낭비를 야기하지만,

    Pos방식은 비교적 적은 양의 전기를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