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완벽한하마13
완벽한하마13

블록딜이란 어떤 것이고 왜 악재가 되나요?

블록딜이란 어떤 것이고 왜 악재가 되나요? 불록딜이란 주식을 대규모로 보유한 주요주주가 사전에 매도물량을 인수할 매수자를 구해 지분을 넘기는 거래라고 하더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블록딜과 같은 경우 주식을 대량으로 보유한 매도자가 사전에 매도 물량을 인수할 매수자를 구해 시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장이 끝난 이후 지분을 넘기는 거래로 보통 최대주주가 무언가 자금이 필요하기에 이에 따라서 활용하는 등 이에 악재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많은 주식을 갖고 있는 사람이 사전에 매도 물량을 인수할 매도자를 구해서 주식을 많이 매도하는 거래입니다 매도가 대규모로 이루어지면 다른 투자자들이 불안을 느껴 함게 매도할수 있어 주가가 떨어질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블록딜은 대량의 주식을 한 번에 거래하는 거래 방식을 말합니다. 주식을 대규모로 보유한 주요주주가 사전에 매도물량을 인수할 매수자를 구해 지분을 넘기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비공개로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블록딜은 시장에서 큰 파동을 일으킬 수 있어 악재가 될 수 있습니다. 대량 거래로 인해 시장가격이 급격히 변동할 수 있고, 시장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또한, 블록딜은 일반 투자자들이 정보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어 시장의 공정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블록딜은 주요 주주가 대규모로 보유한 주식을 한꺼번에 팔 때, 사전에 매수자를 구해 지분을 넘기는 거래를 말합니다. 이렇게 되면 시장에 많은 주식이 한꺼번에 나오기 때문에 주가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투자자들은 블록딜을 악재로 보고 주식을 팔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 블록딜이라고 하면 아시는 것처럼 기존 대주주나 주요 주주의 대규모 물량을 다른 신규 투자자에게 시간외 거래로 별도로 넘기는 것입니다

    이러한 블록 딜이 악재가 되는 경우들이 있는데 대주주 개인적인 자금 필요에 따라서 판매하는 경우에는 회사에 도움이 되는 게 아니라 지배 구조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악재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블록딜(block deal)은 대량의 주식을 한꺼번에 거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대형 투자자나 기관 투자자들이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대량의 주식을 매도하거나 매수할 때 사용됩니다.

    블록딜은 주식 시장의 일반 거래 시간 외에 별도로 설정된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매도자와 매수자가 직접 협의하여 가격과 수량을 정한 후 거래를 성사시키는 방식입니다.

    블록딜이 악재로 간주되는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식 공급 과잉: 대량의 주식이 시장에 풀릴 경우, 주식 공급이 일시적으로 증가합니다. 이는 주식 가격에 하락 압력을 가할 수 있습니다.

    대량 매도 신호: 특히 대형 주주나 내부자가 블록딜을 통해 주식을 매도하는 경우, 시장에서는 이를 해당 주식에 대한 신뢰 부족이나 향후 전망에 대한 부정적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투자자들로 하여금 주식을 팔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가격 변동성: 블록딜이 이루어진 가격이 시장 가격보다 낮을 경우, 이는 주식 가격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다른 투자자들은 이를 보고 주식을 매도하려 할 수 있으며, 이는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심리적 영향: 대량의 주식 매도는 투자자들에게 심리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 전반에 대한 불안감을 조성하고, 주식 시장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블록딜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블록딜은 언급하신 그대로 대규모 주식을 매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장외 시간에 하고

    악재가 되는 것은 대규모 주식이 매매되었기에 악재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