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싹싹한크낙새154
싹싹한크낙새154

과학에서 구름과 강수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기온이 높을수록 응결이 더 잘 일어나나요?

그 반대로는 응결이 잘 안일어나나요?


2. 포화수증기량과 상대습도의 관련성이 뭐에요?

(무엇이 높아지면 무엇이 낮아지는지 또는 높아지는

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응결: 기체 상태의 물이 액체 상태로 변하는 과정입니다.

      기온 영향: 일반적으로 기온이 낮아질수록

      응결이 더 잘 일어납니다.

      이유: 기온이 낮아지면 물 분자의 운동 에너지가

      감소하여 서로 결합하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예외: 습도가 높을 경우 기온이 높더라도

      응결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포화수증기량: 특정 온도에서 공기가 최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의 양입니다.

      상대습도: 실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량이

      같은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량에 대한 비율입니다.

      포화수증기량이 높을수록 상대습도는 높아집니다.

      기온이 높아지면 포화수증기량도 높아집니다.

      따라서 기온이 높아지면 같은 양의 수증기가 있어도

      상대습도는 낮아집니다.

      온도 20℃, 상대습도 50%의 공기는 10℃, 상대습도 100%의

      공기보다 더 많은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온도 30℃에서 10g의 수증기를

      포함하는 공기의 상대습도는 50%입니다.

      온도 20℃에서 10g의 수증기를 포함하는

      공기의 상대습도는 100%입니다.

      기온과 응결: 기온이 낮을수록 응결이 더 잘 일어나지만

      습도가 높으면 예외가 있습니다.

      포화수증기량과 상대습도: 포화수증기량이 높을수록 상대습도는 높아지고

      기온이 높아지면 포화수증기량도 높아져 상대습도는 낮아집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