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차전지등에 금융지원을 해준다고 하던데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가요?
이번 정부가 이차전지등에 대규모 금융지원을 해준다고 하던데요.
그렇다면 해당 부문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지원해주겠다는 내용인지 이번 세부적인 정책 내용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부가 전기차 등에 사용되는 이차전지 산업에 5년간 38조 원 이상의 정책 금융을 지원한다.
이차전지 공급망 안정을 위해 관련 기업에 대출·보증·보험을 확대하고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응한 북미 시설투자에도 금리·보험료 인하 등을 지원한다.
올해 말까지 총 1조 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 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내년까지 5000억 원 규모의 공급망 대응펀드도 조성할 방침이다.
초격차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도 지원한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부는 광물 소재 완제품과 같은 이차전지 산업 전 분야에 5년간 38조원 이상의 정책금융을 지원하며, 미 IRA 대응을 위해 북미 시설투자 시 대출한도 확대, 금리·보험료 인하 등 금융 우대를 제공 및 광산개발을 위한 현지법인 설립 및 금융기관 차입 시 채무보증 등 3조원을 지원한다고 해요.
또한 지난달 말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개발 프로젝트'(2024~2028년·사업 규모 1172억원)를 내년부터 신속히 추진하며, 내년 R&D에 올해 대비 31% 늘어난 736억원이 투자된다고 해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 해당 기업들에게 저리의 대출과 더불어서
운영 자금의 한도를 확대해주는 등 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차전지 기업에 대해 대출이나 보증, 보험 등을 확대하고 북미시설 투자에도 금리나 보험료 등을 인하하는 방안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부는 오는 2028년까지 이차전지 산업 전 분야에 38조원 이상의 정책금융을 지원할 방침
이차전지 공급망 안정을 위해 관련 기업에 대출·보증·보험을 확대하고 IRA에 대응한 북미 시설투자에도 금리·보험료 인하 등을 지원
올해 연말까지 총 1조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 펀드 조성도 추진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개발 프로젝트를 포함해 내년 이차전지 관련 연구개발(R&D)에는 총 736억원이 투입
사용후 배터리 산업도 활성화향후 국내 전기차 보급이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사용후 배터리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
사용후 배터리는 셀 일부 수리·교체 후 자동차에 탑재(재제조)하거나 에너지 저장장치로 용도 전환(재사용) 등 이차적 산업 활용이 가능하지만 현재는 폐기물법상 폐기물로 분류되는 등 과도한 규제로 재제조·재사용에 한계
정부는 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규제를 완화
전기차 폐차 단계에서 배터리 탈거 전 성능평가 방식을 도입, 재제조·재사용 기준을 충족하는 사용후 배터리는 탈거 시부터 ‘폐기물’이 아닌 ‘제품’으로 인정
전기차 폐차 후 탈거 전 성능평가 도입 이전까지는 재제조·재사용이 가능한 사용후 배터리를 ‘순환자원’으로 지정해 폐기물 규제를 면제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사찾아보니 내년부터 5년동안 금융 지원 , 대출 확대·금리 인하 등 우대, 5천억 규모 공급망 펀드 조성, 해외서 필수 광물 채굴할 땐
투자액 3% 세액공제 혜택 등을 주네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