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성서의 12지파는 현재도 유지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야곱 아들로 구성된 12지파는 지금도 유지되고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이는 유대,기독교의 뿌리이며 따라야하는 대리자들인지요?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스라엘 12지파 현재는 어떠한지가 궁금하군요.

    북이스라엘의 멸망 이후에도 사마리아인들에게는 현재까지 지파 개념이 남아 있다고 합니다.

    20세기까지 이어져 온 지파는 레위 지파, 므나쎄 지파, 에브라임 지파, 이다말 지파, 베냐민 지파이다. 베냐민 지파가 1968년에 단절되면서 현재는 네 지파만이 남아 있습니다.
    사마리아인과 다르게 유대인들에게는 고대 로마 시대 이후 지파가 사라졌다고 합니다. 로마 제국의 티투스 장군이 예루살렘 성전을 파괴하고 유대인들을 유대 지역에서 추방하자, 유대인들은 세계 각지로 흩어지게 되고 지파 개념도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서의 12지파는 유대인의 역사와 종교적 전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현재로서는 민족적인 구분이나 정치적인 의미에서는 크게 유지되고 있지 않습니다.

    성서의 12지파는 유대인들이 구약 성경에서 강조되는 12개의 종족 또는 가문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이들 12지파는 야곱의 12명의 아들들로부터 비롯되었습니다. 모세 때문에 이스라엘은 애굽에서 탈출한 뒤 미드바라 사막에서 12지파로 구성된 군사적 사회적 공동체로 성장하였습니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오랫동안 유방역사에 의해 많은 변천과 고난을 겪었습니다. 이스라엘과 유대인들의 역사에서 여러번의 멸망, 흩어짐, 강제이주 등이 발생하면서 12지파가 현실적인 의미를 잃었습니다. 특히 로마 제국의 지배 아래 유대인들은 유방지구로 흩어지게 되었고, 많은 유대인들이 다양한 국가로 이주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유대인들은 다양한 국가에 살고 있으며, 한 곳에 집중된 12지파가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이스라엘은 모던한 국가로 탄생하여 다양한 유대인들이 이곳에 살고 있지만, 각각의 유대인들은 오랜 역사와 문화적 차원에서 오는 공통된 유대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성서의 12지파는 유대인의 역사와 종교적 전통에서 중요하게 여겨지지만, 현재로서는 민족적 구분이나 정치적 의미에서 크게 유지되고 있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북이스라엘의 멸망 이후에도 사마리아인들에게는 현재까지 지파 개념이 남아있고 20세기 이어져온 지파는 레위 지파, 므나쎄 지파, 에브라임 지파, 이다말 지파, 베냐민 지파 입니다.

    베냐민 지파사 1968년 단절되면서 현재는 제 지파만이 남아있습니다.

    사마리아인과 다르게 유대인들에게는 고대 로마 시대 이후 지파가 사라졌고 로마제국의 티투스 장군이 예루살렘 성전을 파괴하고 유대인들을 유대 지역에서 추방하자, 유대인들은 세계 각지로 흩어지게 되고 지파 개념도 사라지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