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훈 전문가님께 질문 드립니다...??
/30 이나 /31은 255.255.255.11111100이나 255.255.255.11111110 이 되잖아요..... 255.255.255.***** 이므로 그럼 AS간의 통신은... C 클래스가 보통 쓰이게 되나요? 아니면 단지 IP갯수를 줄이기 위해 서브넷팅 한 것인지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30 또는 /31은 각각 255.255.255.252 또는 255.255.255.254의 서브넷 마스크를 가지며, 이는 C 클래스 대역(/24, 255.255.255.0)을 서브넷팅하여 IP 주소 개수를 줄인 것입니다. 따라서 AS 간 통신에 C 클래스가 보통 쓰이는 것은 아니며, /30이나 /31은 단순히 두 지점 간의 연결에 필요한 최소한의 IP 주소만 할당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즉, IP 낭비를 막기 위한 서브네팅의 한 형태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C 클래스 IP 주소는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AS간의 통신에서는 일반적으로 더 큰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클래스 A,B 가 선호됩니다.
C 클래스는 특성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지만, 전체적인 AS 간 통신에서는 그 사용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김재훈전문가님은 아니지만 답변드립니다.
AS간의 통신은... C 클래스가 보통 쓰이게 되는게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아하의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30이나 /31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의 유효한 호스트 수를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들 서브넷팅 방식은 특히 점대점(Point-to-Point) 연결과 같은 상황에서 IP 주소 절약을 목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AS(자율 시스템) 간 통신에서는 일반적으로 BGP(Border Gateway Protocol)를 이용하여 여러 다양한 크기의 주소 블록을 처리합니다. 따라서 C 클래스만 사용한다고 보기보다는 네트워크 요구사항에 맞춰 다양한 크기의 IP 블록을 배정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질문자분의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30이나 /31 서브넷 마스크는 IP 서브넷팅에서 매우 작은 네트워크를 만들 때 사용됩니다. /30은 두 개의 호스트를 사용할 수 있는 작은 네트워크를 만드는데 주로 포인트 투 포인트(점대점) 연결에 사용됩니다. /31은 라우터 간의 지점 간 연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IP 주소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AS 간의 통신에서 C 클래스가 많이 사용되지만, 경우에 따라 자원을 절약하기 위해 서브넷팅을 통한 작은 네트워크 구성도 많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서브넷팅은 IP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