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생대에는 빙하기가 없는데 공룡 멸종 가설에 왜 빙하기가 있나요
공룡 묠종 가설중 유명한것 가운데 빙하기 가설이 있잖아요
실제로 어땠는지는 차치하고 그것이 주요 가설중 하나라는건 최소한 멸종 즈음해서 빙하기가 있었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멸종 시기는 커녕 중생대에는 빙하기가 없다고 배우는데 왜 공령 멸종 가설중에 빙하기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지구 전체가 두꺼운 얼음으로 덮이는 시기인 빙하기는 신생대에 나타난 것으로 알려졌으며 중생대에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중생대는 오히려 온난한 기후가 우세했던 시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이 공룡 멸종 시기인 중생대 말기(백악기 말기)에 급격한 기후 냉각이 있었을 가능성을 이야기 하였고 이 냉각이 전통적인 빙하기 수준은 아니었지만, 당시의 공룡들이 적응하기 어려운 정도로 급격하게 온도가 낮아졌을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 인 것이지요~ 이로 인해 일부 연구에서는 빙하기라는 용어를 넓은 의미로 사용하여 이러한 기후 냉각을 설명하게 된 것입니다! 이는 소행성 충돌이나 대규모 화산 폭발이 대기 중에 먼지와 에어로졸을 방출하여 햇빛을 차단하고, 이로 인해 지구가 급격히 냉각된것으로 보고 있으며 말그대로의 빙하기가 아닌 생존하기 어려운 빙하기였따고 해석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날이 덥습니다~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