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많이일찍일어나는굉장히성실한사람
많이일찍일어나는굉장히성실한사람

업비트 아이오에스티 코인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아이오에스티 코인 특징과 전망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누가 만들었구 어느나라 사람인지두요 ㅎㅎ 전문가님의 답변 기다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IOST코인은 Jimmy Zhong을 대표로 IOST재단이 2018년에 런칭 한 코인 입니다.

    IOST의 경우 모토가 "서비스의 인터넷"인만큼 확장성과 속도에 촛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사실 IOST는 기업용으로 개발 된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향 후 IOST의 성공은 대기업과 어떤 파트너쉽을 가지는 지에 따라 그 성공의 여부가 달려 있습니다.

    국내 김치코인과 달리 해외거래소에서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는 코인이기에 어느 정도 안정적인 코인으로 보여집니다.

    주봉 기준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현재 IOST는 알트 약세장에 따라 하락 추세를 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 관점에서 현 가격을 유지 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해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이오에스티(IOST)에 대해 간략히 설명드리면, IOST는 "Internet of Services Token"의 약자로, 확장성이 높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2018년에 시작되어 주로 기업용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IOST는 고성능, 확장성, 보안성을 강조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지향하며, 창립자들은 주로 중국과 미국 출신의 기술 전문가들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망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다양하며,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이오에스티는 아이오스티 재단에서 만들었는데 블록체인 기술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글로벌 팀으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있습니다. 아이오에스티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고성능, 분산형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다양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고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높은처리 속도와 확장성이 강점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이오에스티(IOST) 코인은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형 애플리케이션(dApps)과 스마트 계약을 지원하는 플랫폼입니다.

    이 플랫폼은 높은 거래 처리 속도와 확장성을 목표로 하며, 탈중앙화된 네트워크를 통해 빠르고 효율적인 트랜잭션을 제공합니다.

    IOST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비스 스케일링: IOST는 높은 TPS(초당 거래 수)를 제공하여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합니다.

    결정성: 효율적인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빠른 거래 처리와 높은 보안성을 보장합니다.

    자체 프로그래밍 언어: 스마트 계약 작성과 배포를 위한 자체 언어인 "ISC"를 제공합니다.

    전망에 대해서는,

    IOST는 최근 몇 년간 확장성과 속도를 중시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으며, 대규모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의 채택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러나 블록체인 시장의 경쟁이 치열하고 기술적, 규제적 불확실성이 있으므로 장기적인 성공 여부는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개발자는 창정(Cheng Zhang)과 리우 리우(Liu Liu) 등으로, 중국 출신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아이오에스티 (IOST) 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이오에스티 (IOST)는 확장성과 빠른 트랜젝션 처리 속도에 집중해서

    서비스의 인터넷을 목표로 삼고 있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입니다.

    아이오에스티 토큰은 네트워크 내의 모든 트랜젝션 수수료 지불에서 사용되어집니다.

    특징으로는 효율분산샤팅 방식을 통해서 트랜젝션 속도를 대폭 개선한 특징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