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쾌활한군함조29
쾌활한군함조29

유동성장세가 지속하는 경우에 주가의 흐름

유동성장세는 돈의 힘으로 주가가 오르는 경우를 말하는데요 이러한 경우에는 장기적으로 주가가 오를 수 있다고 봐야 하나요 답변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동성장세는 일반적으로 경기가 회복되고 기업의 실적이 개선되는 등 경제적 여건이 개선될 때 발생합니다. 이 경우에는 기업의 가치가 상승하면서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유동성장세가 지속되는 동안에도 기업의 실적이 악화되거나 경제적 여건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자는 항상 기업의 실적과 경제적 여건을 주시해야 합니다.

    유동성 장세는 기업의 실적이 좋지 않더라도 주식을 구매하려는 수요로 인해, 즉 돈의 힘으로 주가가 오르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는 시장에 유동성이 풍부할 때 발생하며 주식시장에 유입되는 유동성이 증가할수록 주가 상승 또한 빠르게 상승합니다. 다양한 업종의 주가가 실제 기업 실적과는 무관하게 상승하기에 거품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 보통 자본주의의 특성상 유동성장세가 펼쳐질 수 밖에 없습니다. 돈의 양은 갈수록 많아 지기에 이에 따라서 어느정도 장기적으로 주가가 올라갈 수 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 주가가 오르는 이유가 기업의 실적 개선이나 잠재력이 아닌 외부적인 요인일 경우, 이는 지속 가능한 성장이 아닐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동성 쇼크로 인한 주가 상승은 장기적인 투자 결정에 있어서만큼 중요한 요소가 아닐 수 있습니다

  • ✅️ 유동성장세가 지속되는 경우 돈의 힘으로 주가가 오를 개연성이 커지게 되므로 주가는 '우상향'을 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게 너무 오래 지속되면 '버블'이 형성될 수 있고 일거에 꺼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 유동성장세가 지속되는 것은 보통 단기적인 자금의 유동성이라기 보다는 자금의 유동성을 통해서 시장을 활성화시키는 경우가 많다 보니 이러한 장세는 보통 2~3년은 강세를 보이는 경우가 많아요

  • 실제로 21년도 코로나 시기 대량의 통화량이 시중에 풀리면서 22년도까지 장기간 증시가 우상향 한 기억이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미연준이 금리를 올리면서 하락했지만요. 유동성장세 시작시 장기간 증시가 우상향 할 수 있지만 적절한 시점에 수익을 챙기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유동성 장세는 돈이 많이 풀려서 주가가 오른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주가가 단기적으로 오를 수 있지만 돈의 힘 만으로는 장기적으로 계속 오를 지 알 수 없습니다. 장기적으로 주가가 오르려면 기업의 성장이 뒷받침돼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 유동성장세의 시작점에 있다면 최소 1년동안은 꾸준히 우상향 할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 하지만 유동성장세 이후에는 실적장세가 이어지고 그 이후는 경기가 꺾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주식시장에서 '유동성장세'는 기업실적과 상관없이 주식을 사려는 수요, 즉 `돈의 힘'으로 주가가 오르는 경우를 말하며, '금융장세'라고도 한다. 통화공급 확대와 금리하락에 의해 주식시장에 시중자금이 몰려 들면서 주가가 큰폭으로 오르는 것이다. 증시 예탁금의 양이 유동성장 여부를 가늠하는 잣대로 많이 쓰인다. 유동성장세의 가장 큰 특징은 주가가 단기간에 큰 폭으로 상승한다는 점이다. 유동성장세에서는 투자자들이 많은 주식을 확보하려는 경향이 있어 대체로 유통량이 풍부한 주식과 가격이 비교적 싼 주식 등에 매수주문이 몰린다. 또 은행주, 증권주 등 금리에 민감한 주식과 부채비율이 높은 회사들이 저금리로 금융비용 부담이 줄어들게 되므로 강세를 보인다.

  • 유동성장세는 단순히 돈의 힘, 쉽게 말해 유동성으로 인한 상승세에 불과합니다.

    이는 어느 정도의 매수세가 그치게 되면 매물 증가로 인하 원 가치대로의 가격이 회귀할 확률이 높으며, 유동성장세는 시간이 지날수록 해당 가치에 수렴하게 됩니다.

    해당 기업의 실적과는 상관없이 단순히 매수세가 많이 몰려 가격이 상승한 것이기이 장기적으로 보면 가격이 떨어질 확률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