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물과 썰물로 신재생에너지를 만든다고 하는데 어떤 원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 특히 서해안은 밀물과 썰물의 차이 즉 조수간만의 차이가 심한데요. 밀물과 썰물로 신재생에너지를 만든다고 하는데 어떤 원리로 신재생에너지를 만드는지 궁금합니다.
밀물과 썰물은 조수간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수위차 에너지를 추출해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합니다. 이를 조류 발전이라고 합니다. 조류발전은 터빈을 이용하여 수위차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변환시켜 발전기를 구동시켜 전기를 생산합니다. 수위차가 크고 물의 유속이 빠를수록 발전 효율이 높아지며, 대표적인 조류발전 장소로는 영국의 세번츠, 프랑스의 라쇼파르마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조수 간만의 수위 차를 이용해 수력발전과 마찬가지로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방식이다.
조석발전으로 불리기도 한다.
바닷물이 들어오는 밀물 때는 밀물의 힘으로, 빠져 나가는 썰물 때는 가두어 둔 물을 방류 시키며 낙차를 이용해 수차발전기(터빈)를 돌리는 것으로 수력발전과 같은 원리로 전기를 생산한다.
조석간만의 차가 큰 강 하구나 만을 방조제로 막고 발전기를 설치한 뒤, 밀물 때 해수가 들어오면 수문을 열어 방조제 안에 물을 가둔 뒤 수문을 닫는다.
썰물이 되면 수문을 열어 가둬 두었던 물을 방류해 발전기의 터빈을 돌리게 된다.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썰물의 움직임으로 전기를 만드는 조력발전소가 있습니다해협과 항만의 지형을 이용하여 거기서 조류나 조수의 간만등의 낙차를 이용하여 수차를 구동시켜 전기를 만듭니다
밀물때 들어오는 물을 가두고 외해와 내해의 수위차를 이용하여 전기를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