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궁금한게많음
궁금한게많음

산화 헤모글로빈이 적색광을 더 많이 흡수하고 적외선을 통과시킨다는데 왜 그런가요?

산화 헤모글로빈이 적색광을 흡수하는 이유가 어떤 파장이랑 연관이 있나요? 산소가 에너지가 큰 파장을 받아들이기 어려워서인가요? 산소포화도 측정 원리 중 산화 헤모글로빈과 탈산화 헤모글로빈이 흡수하고 통과하는 파장이 다른데 왜 다른건지, 특히 산화 헤모글로빈은 왜 적외선광을 더 많이 통과시키는데 적색광을 왜 더 많이 흡수하는 건지 모르겠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산화 헤모글로빈은 적색광을 더 많이 흡수하고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이유는 그 분자 구조 때문입니다. 헤모글로빈은 혈액 속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단백질입니다.

    헤모글로빈은 철이 포함된 혈색소로, 산소와 결합할 때 산화 헤모글로빈으로 변환됩니다. 이 산화 헤모글로빈은 적색광을 더 많이 흡수합니다. 이는 산화 헤모글로빈 분자의 구조적인 특성에 기인합니다.

    적색광은 주로 600-700 나노미터의 파장을 가지는데, 산화 헤모글로빈은 이 파장의 빛을 많이 흡수합니다. 이는 헤모글로빈 분자의 구조상 적색광을 흡수하는 크로마포어부분과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 산화 헤모글로빈은 적외선을 상대적으로 잘 통과시킵니다. 적외선은 보다 긴 파장을 갖는 빛으로, 산화 헤모글로빈의 구조에 의해 잘 투과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