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신기루가 생기는 이유가 뭔가요?

최근 바닷가 근처에 오징어잡이 배의 불빛 등이 하늘에 비춰서 여러 사람들이 놀란 기사들을 봤는데요.

이런 신기루 현상은 어떻게 나타나는건가요?

하늘에 거울이나 그런 비치는 곳도 없는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아마2718
      호아마2718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는 주로 사막에서 볼 수 있는데요.

      바닥이 뜨거워지면서 공기의 온도도 높아지면서 밀도가 변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대기의 밀도가 불안정해지면서 빛이 굴절하게 됩니다. 그래서 빛이 굴절되면서 물체가 다른 곳에 비춰지면서 신기루가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는 뜨거워진공기에의해 빛이 굴절되어 땅에있는 물체가 하늘에 떠보이는현상입니다.


      아스팔트가 뜨거울때 물 웅덩이가 있는것처럼 보이는것도 비슷한 원리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굴절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신기루는 뜨겁게 달궈진 지면과 상공의 공기차로 인해 빛의 굴절에 의해 발생합니다. 우리 뇌는 빛이 들어오면 일직선 상에서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신기루로 보는 물체는 실존합니다. 단지 빛이 굴절되어 보이는 현상이기 때문에 그 위치에 없을 수는 있지만, 굴절 원리를 통해 경로를 정확히 판단해 찾아간다면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마치 유리잔에 물을 가득 채워 놓은 뒤 젓가락이나 빨대를 넣었을 때 휘어보이는 현상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 현상은 빛의 굴절때문에 일어납니다

      뜨거운 공기는 차가운 공기에 비해 밀도가 낮은데 이러한 밀도 차이에 의해 빛이 굴절하게 됩니다. 따라서 지면에 있는 공기로 빛이 들어올수록 그 빛은 위쪽으로 휘게 되어 반대편 물체가 지면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 신기루는 공기의 밀도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뜨거운 공기는 차가운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습니다.

      밀도가 차이가 생기면 빛이 굴절하게 되고,

      지면에 있는 공기로 빛이 들어올수록 위쪽에서 더 휘게 되어

      반대편 물체가 지면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현상이 신기루 입니다.

      따라서 사막에서 오아시시를 신기루로 보곤 하는데,

      이것은 실제로 오아시스가 근처에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