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0프로 이상이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성과가 있었다고 하는데 어떤 이유에서 인가요
이번 한국과 미국의 정상회담을 보면서 한나라의 대통령이 얼마나 중요한 자리인지
실감을 한것 같습니다 저도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성과가 있는것 같은데 어떤
이유에서 성과가 있었다고 느끼는가요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26일 전국 18세 이상 5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한미 정상회담에 대한 전반적 평가를 묻는 질문에 53.1%(매우 잘했다 37.6%, 잘한 편이다 15.6%)가 긍정적으로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 유무와 관련해 전체 응답자 중 60.7%가 성과가 있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성과가 있었냐는 질문에 ‘조선업·제조업 등 경제 협력 확대’를 꼽은 비율이 18.0%로 가장 높았으며, ‘양국 정상 간의 개인적 신뢰 구축 14.0%, 북미 대화 및 한반도 평화 진전 13.9%, 한미일 동맹 간 협력 강화 10.5%, 방위비 분담금 및 주한미군 문제 협상 4.3%로 각각 조사됐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한미 정상회담의 결과가 제대로 나온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일단 미국에서 더 많은 지원을 바라는 입장이라고 생각하며, 이러한 것은 결국 주한미군의 방위비용이라고 하거나 또는 북한에 대한 지원을 바랄 수 있기에, 이전의 무역의 관셍이슈와 더불어 더 많은 자금이 유출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바, 이러한 정상회담의 결과는 부정적이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어떠한 결론이 날지를 지켜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반도체, AI, 원전 등 첨단 산업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가 긍정 평가를 받았습니다
또한 국방 및 경제 안보 측면에서 양국간 신뢰와 동맹 강화를 체감한 국민이 많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이번 한미 정상회담은 무난하게 지나간 것으로 보여집니다.
일단 트럼프가 정말 예측하기 힘든 인물인 점을 감안하게 되면
무난하게 넘어간 것만해도 어느 정도 잘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 성과 얘기가 뉴스마다 나오던데 국민 여론조사 보니까 절반 넘게 긍정적으로 본다고 하더군요. 이유를 보면 안보랑 경제 쪽이 제일 크다고 생각됩니다. 우선 북핵 대응에서 미국이 확실히 우리나라 방어를 책임진다는 메시지를 내놨고 이게 체감상 다행이다 싶었던 사람들 많을 겁니다. 또 반도체나 배터리 같은 산업 협력도 언급됐는데 이런 건 솔직히 직접 피부로 느끼긴 어렵지만 그래도 미래 먹거리에 투자한다는 느낌을 줘서 반가웠던 거겠죠. 대통령이 한 나라 대표로 나가서 성과를 보여주는 그림 자체도 괜히 국민들한테 안정감을 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글쎄요 탁월하게 잘한 정상회담은 당연히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기업이 미국에 대한 대폭적인 투자를 늘리면서 경제 협력을 하는 구조로 회담이 진행되었고 결과론적으로 관세 15프로로 확정적으로 가는 방향으로 갔으니 나쁠건 없지만 아주 좋은 성과 또한 없는게 팩트가 아닐까 싶네요!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민들이 한미정상회담이 성과가 있었다고 하는 이유는 조선업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확언을 재차 듣고오고 북한과의 회담 가능성을 논의했기 때문으로 볼수 있습니다. 추가로, 회담에서 오히려 문제가 될만한 내용이나 손해를 보고 오지 않던 것도 중요한 내용으로 볼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솔직히 이번 한미 정상 회담의 성과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굳이 있다면 트럼프가 이재명을 한국의 대통령으로 인정해준것 이외에는 없다고 보면 될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 60%이상이 이번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로 경제협력 확대, 특히 조선업과 제조업 등 산업 분야의 구체적 협력 강화가 실질적인 결과라고 평가했습니다. 정상 간 신뢰 구축, 북미 대화와 한반도 평화 진전, 한미일 동맹 협력 강화 같은 외교, 안보 측면에서도 긍정적으로 보았습니다. 회담 내용이 각 분야에 실질적 기대와 안정을 불러왔다는 점이 성과로 인식된 주요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