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의 거북선은 어떻게 제작되는과정을 거치나요?

2023. 02. 25. 22:23

거북선을 말로만 들었지 진짜 어떤식으로 제작되었는지 그당시 기술과 지금의 기술과 비교해보고 싶고 전쟁시 거북선의 효과는 어땠을까요?


총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거북선은 조선시대에 사용된 군함으로서, 세계 역사상 가장 뛰어난 전략적인 디자인을 가진 배 중 하나입니다. 그 당시 기술로는 상상도 못할 정도로 발전된 조선의 조선기술과 조선시대 군사학 문화가 반영된 결과물입니다.

거북선은 이름 그대로 거북이 모양을 닮았으며, 전면에 날카로운 칼날이 달린 강철바를 부착해 적군의 배를 공격하고 침몰시키는데 사용됩니다. 또한 철제 방패와 화약통을 갖추어 적군의 포격을 막고, 적군의 배에 접근하여 철광석을 던지거나, 불을 놓아 적군의 배를 태우는 등의 공격 방식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당시 거북선은 세계적으로도 뛰어난 전략적인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으며, 적군의 포격에도 견딜 수 있는 탄력성과 방어력을 갖추고 있어서, 중요한 전장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지금의 기술과 비교해보면 거북선의 기술은 당시 최첨단이었지만, 현재의 기술과 비교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거북선은 당시 기술로 만들어진 최강의 전략무기였으며, 조선시대 군사학 문화와 기술력이 반영된 결과물이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중요한 배가 되었습니다.

이순신 장군이 사용한 거북선은 16~17세기 조선시대에 제작된 선박으로, 현존하는 거북선의 모습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이순신의 거북선은 전투에 특화된 선박으로, 노력과 기술이 많이 들어간 작품입니다.

이순신의 거북선은 나무로 만들어졌습니다. 이 때 사용한 나무는 수국, 느티나무, 상수리나무 등이었습니다. 이런 나무들은 내구성이 좋고 굽힘이 적어서 선박 제작에 적합했습니다. 이순신의 거북선은 철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나무판을 겹쳐서 만들었습니다.

이순신의 거북선은 전장에서 유리하게 싸우기 위해 여러 가지 특징을 가졌습니다. 먼저, 선체의 형태가 거북 등과 같아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이 거북 등의 모양은 선박의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또한, 선박의 크기가 크고, 몸통과 꼬리 부분에 난간을 설치해서 전투 시 적의 화살이나 작살 등을 막을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이순신의 거북선은 또한 강력한 무기를 장착하고 있었습니다. 이 선박에는 천장대, 대포, 삼지창 등의 무기가 장착되어 있었으며, 이를 통해 적군을 공격하였습니다.

이렇게 제작된 이순신의 거북선은 전투에서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선체의 안정성과 난간, 그리고 강력한 무기 등이 결합되어 적군의 공격을 견제하고 전략적으로 전투를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거북선은 조선시대의 해상 전투에서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2023. 02. 26. 08:04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이순신 장군의 거북선은 대략 14m의 길이와 4m의 폭을 가지고 있으며, 선체는 장작과 대나무로 만들어졌습니다. 먼저 대나무로 만든 구조물에 장작을 꽂아 선체의 형태를 만들었고, 그 위에 송곳처럼 예리한 도끼로 선체를 깍아 나갔습니다. 이렇게 만든 선체를 물에 띄우고, 선체 상단에 방수처리를 위한 합판과 해상전에서 발사할 수 있는 대포와 함께 장착하는 작업을 거쳤습니다. 또한, 앞쪽에는 쇠머리, 뒷쪽에는 철로 된 부리를 달아 강력한 충돌력을 가지도록 만들었습니다. 이처럼 이순신 장군의 거북선은 당시 최첨단 기술을 적용하여 만들어진 선박으로, 고도의 전략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2023. 02. 26. 18:45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