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랑 비밀번호 대신 퍼블릭키와 프라이빗키로 사용하게 되면 어떤점이 좋나요?
유튜브나 네이버는 아이디랑 비밀번호만 있으면 쉽게 로그인해서 서비스를 이용하는데요. 블록체인은 복잡하고 외우기도 어려운 퍼블릭키와 프라이빗키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이렇게 불편하게 만들면 여러사람들이 사용하기 불편하지 않나요?
유튜브나 네이버와 달리 블록체인 지갑에는 소중한 개인의 자산이 들어있습니다. 은행 계좌에 접근하거나 은행의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보안카드나 공인인증서 등 아이디와 비밀번호 외에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그러한 이유도 자산이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보안이 중요해서 쉽게 로그인 할 수 없도록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블록체인 지갑도 은행과 마찬가지로 개인의 자산이 들어있기 때문에 보안성을 위해서 복잡하고 외우기 힘든 키를 사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하실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주신 퍼블릭키와 프라이빗키는 은행계좌로 따지면 아래와 같습니다.
퍼블릭키 = 은행계좌
프라이빗키 = 공인인증서
암호화폐 지갑에는 실제 법정화폐로 교환할 수 있는 자산이 담겨져 있으며 이런 자산이 담겨져 있는 지갑에 대한 접근을 네이버나 유튜브 같이 아이디와 비밀번호만으로만 접근이 가능하다면 외부로부터 해킹에 굉장히 취약한 구조가 될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단순히 아이디와 비밀번호로의 접근은 무작위사전대입공격으로만 해도 쉽게 뚫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암호화폐의 프라이빗키와 퍼블릭키는 해쉬함수의 단방향성으로 인해 해킹이 어렵고 무작위 대입으로 해킹을 한다고 해도 엄청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