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엄청난참고래63
엄청난참고래63

처방받는 약중에 약성이 강한 약은 어떤 진료과의 약인가요?

나이
51
성별
남성

여러진료과목의 처방받는 약중에서 성분이 강력해 타 진료과의 약과 중복 복용을 금한다던지 장기복용을 하면 간의 무리가 간다던지 하는 진료과는 어디인가요? 피부과의 약이 대체로 독하다던데 사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처방과 중에 약성이 강한 약은 구별하기가 어렵습니다.

    질병의 증상에 따라서 약을 처방하기때문에 처방과로 구별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진료과로는 알 수 없습니다. 모든 과에서 다 그런 약을 처방할 수 있어요. 그건 과로 알 수 없고 처방한 약을 보고 상호작용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약을 받으실 때마다 지금 드시고 있는 약을 항상 말씀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진료과를 특정하여 이야기 하기는 어려우며 개인의 상태에 따라 처방받는 약물이 다르며 간기능이 저하되거나 위장이 약한 경우에는 사전에 진료시에 이야기하고 본인의 상태에 맞게 약을 처방받길 권장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어느 과에서든 증상에 맞게 약을 처방해주실텐데 상태가 안좋으면 강한약을, 상태가 가볍다면 약한약을 처방해주십니다.

    특정 과라고해서 무조건 독한약을 처방하는게 아닙니다.

    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소아청소년과 치과나 제외한 다른 과에서는 약효나 부작용 위험이 높은 약들을 처방할 수 있어요.

    소청과나 치과에서도 불가능한건 아니구요.

  • 안녕하세요. 김강희 약사입니다.

    같은 증상에 대해서도 여러 종류의 약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과의 약이 특히 더 독하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피부과에서도 소염제나 감마리놀레산 등의 부작용이 적은 약물을 사용할 수 있고, 간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이소트레티노인 성분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용 중인 약의 성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며, 특정 과의 약이 독하다는 개념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