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가지런한오소니23
가지런한오소니23

흥성대원군이 척사 운동을 펼치게 된 이유

흥성대원군이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면도 있지만 척사 운동같이 부정적인 면으로 평가되는 면도 있다는 것으로 들었습니다.

흥성대원군이 위정척사 운동을 펼친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지식의 신
      지식의 신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위정척사 운동은 1811년에 일어난 조선 후기의 대규모 농민반란 중 하나입니다. 이때 흥선대원군은 척사 운동을 주도하면서 이에 참여했습니다.

      이 운동의 주요한 배경으로는 당시 조선 사회의 급변하는 정치, 경제적 상황, 과도한 세금 부담, 사회적 불평등, 재정적 문제 등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발생한 농민 및 노비들의 불만이 점점 커져 이러한 반란이 일어나게 된 것입니다.

      흥선대원군이 이 운동에 참여한 이유는 주로 민생을 위한 개혁적인 이념에 기반합니다. 그는 대군을 일으켜 이 운동을 주도하면서 농민, 노비들의 고통을 덜어주고자 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운동을 통해 자신의 사실상의 권력을 키우고, 그를 지지하는 사람들의 충성심을 얻으려 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운동이 국가적으로 선동적인 요소가 있었다는 이유로 척사 운동이라는 이름으로 비난을 받기도 했으며, 일부에서는 이 운동이 혁명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고 보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 운동은 흥선대원군의 평가를 높이는 데도 이어지고, 그의 부정적인 평가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엄밀히 말하면 흥선대원군은 쇄국정책을 펼친 것입니다. 외부의 적으로부터 조선을 지키는 정책이라고 본 것입니다. 서구 열강의 이앙선이 침몰하고 러시아가 연해주를 점령해 국가적 위기의식이 고조되던 때입니다.

      이러한 정책을 기존의 양반들이 지지하였고, 이들이 위정착사운동을 하게 됩니다. 일본과의 개항과 서구문물에 반대하는 일련의 흐름이라고 볼 수 있는데, 개항기에는 위정착사운동을 펼쳈고 일본의 침력에 대해서는 의병운동으로 직접 일어났으며, 국권을 빼앗긴 상황에서는 무장투쟁을 전개한 것입니다. 참고로 1873년 고종이 친정을 선포하고 대원군이 축출되고 외교정책이 바뀌고 개화의 흐름으로 나아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