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과학수준으로 최대 어디행성까지 갈 수 있나요??
현재 발전된 과학수준으로 최대 어디행성까지 갈 수 있나요??
우리 은하계 벗어날 수 있나요?? 사실 가는게 문제가 아니라, 돌아오는 것도 생각해야하니까 현실적으로 살아서 복귀할 수 있는 최대거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기술적으로는 태양계 외곽의 몇몇 행성에만 우주선을 보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미 태양계 내의 모든 행성과 그 이상의 천체들을 관측하고 있지만, 사람이 직접 방문할 수 있는 행성은 아직까지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우주 탐사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간은 점점 더 멀리 떨어진 행성에도 도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970년대에는 보이저 1호와 2호가 태양계 외곽을 탐사하기 시작했으며, 이들은 현재까지도 우주에서 가장 멀리까지 나아간 우주 탐사선입니다. 이들은 각각 태양계 외곽의 행성 네브추와 우라누스를 지나가며 우주에서의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현재 우주 탐사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간이 태양계 외곽의 몇몇 근접한 행성을 방문하는 것은 가능해졌지만, 아직은 행성까지 이동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한계가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외계 행성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보다 발전된 기술과 방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지구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진 행성까지 직접 가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과학 기술 수준으로는 천문학적인 거리와 조건 상으로 인해, 우리 태양계 내에서 지구를 제외한 행성을 탐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각 행성마다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우리가 관측하고 이해할 수 있는 한계점도 있지만, 인공위성과 탐사선, 하지만 인공 위성과 탐사선 등을 보내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딥스페이스나 스타샷 같은 이론적인 우주여행 기술 개발 노력도 있지만, 아직은 실험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였고 여러 기술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최대 어디 행성까지 갈 수 있는지는 아직까지 확정된 바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발전된 기술로는 최대로 간 거리는 태양계 밖 외곽을 떠도는 보이저 1호와 2호로, 각각 1977년과 2018년에 발사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우주 공간에서 활동 중입니다. 보이저 탐사선은 태양계를 빠져나가 인터스텔라 공간으로 진입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까지 발사된 탐사선 중 최대 거리를 갈 수 있는 탐사선입니다.
우리 은하계를 벗어나 다른 은하계까지 이동하는 것은 현재 기술적으로는 불가능합니다. 현재까지 관측된 가장 먼 은하인 GN-z11은 약 130억 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우리가 인식하는 우주의 크기에 비해 아주 작은 부분만을 탐사할 수 있다는 것이 현실입니다.
또한, 인간이 생존할 수 있는 공간에서는 에너지 문제와 우주선 기술의 한계 등의 제약이 있어서, 지금 당장 인간이 멀리 떨어진 곳까지 여행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