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은행에서는 어떻게 리플을 사용하고 있지요?

리플 관련 소식을 받을때마다 은행과 파트너를 맺고

스위프트 뭐 이런것을 적용했다 어려운 용어가

나오던데요 은행권에서는 리플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것인지 전문가분들의 친절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까칠한담비242
    까칠한담비242

    리플사의 리플넷과 다양한 송금 솔루션은 기존의 SWIFT 해외 송금 시스템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금융 기관들이 계속 SWIFT를 발전시켜가면서 이용하느냐, 리플넷이 SWIFT를 대체하여 이용될 수 있느냐의 문제가 되겠습니다.

    그렇다면 RippleNet(구 xCurrent)과 SWIFT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SWIFT의 송금 방식부터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은행 고객이 송금 수수료와 전신료를 내고 은행에 해외 송금을 신청하면 해당 송신 은행의 직원이 MT103 SWIFT 전문을 작성하여 수신 은행에 보내고 전문을 확인하고 검증한 수신 은행은 중간 은행에 지급 요청 SWIFT 전문을 보냅니다.

    이때 중간 은행에 보관된 '송신 은행 명의의 중간은행 계좌'에서 수수료를 제외하고 수신 은행으로 자금이 최종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수신 은행의 자금 수취인이 수취 수수료를 내고 수령하게 됩니다.

    다음으로 RippleNet도 SWIFT 송금 시스템과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RippleNet의 경우에도 역시 송신 은행, 중간 은행, 수신 은행 세 은행이 존재하고 이 은행의 원장(Ledger)은 RippleNet의 ILP(인터레저프로토콜)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먼저 송신 은행이 송금 트랜젝션을 발생시키면 리플 커넥트를 통해 이것이 수신 은행에 도착하게 되고 트렌젝션이 적합한지를 검증 한 후, ILP(인터레저 프로토콜)를 통해 수신 은행이 중간 은행에 보관된 '송신 은행 명의의 중간은행 계좌'로 송금을 진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나서 중간 은행 역시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ILP를 통해 수신 은행으로 송금하게 되고 수신 은행의 ILP를 통해 자금이 최종적으로 수신자에게 이동하는 방식으로 송금을 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둘은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SWIFT는 사람이 직접 전문을 보내고 받고 처리하는 과정이 복잡하게 처리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하지만 RippleNet은 사람이 직접 송금 업무를 처리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해 거래 과정의 메시지 전달을 자동적으로 빠르게 처리함으로써 해외 송금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가 있습니다.

    또한 SWIFT의 송금이 전문이 오고 가는 과정에서 느리게 진행되는 것에 비해 RippleNet은 각 은행의 원장(Ledger)에 ILP가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송신 은행에서 중간은행으로, 중간은행에서 수신 은행으로의 송금이 매우 빠르고 신뢰할 수 있게 이루어지므로 송금 시간과 거래 검증 시간을 줄일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RippleNet 솔루션을 이용하여 해외 송금이 이루어지면 시간이 줄어들고 여러가지 절차들과 수수료들이 줄어들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소요되는 비용 또한 절감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