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기막힌하운드182
기막힌하운드18222.08.06

예금,적금 금리가 얼마까지 오를까요?

예금, 적금 금리가 하루가 멀다하고 오르고 있는데,,

금리가 물가상승률에 맞춰 계속 오를까요?

그리고 부동산 가격은 하락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물가상승률만큼 오르기는 쉽지 않습니다.

    미국 연준에서 계속 금리를 올리고 있는 기조를 보아 금리는 앞으로도

    올라갈 가능성이 크며 금리가 올라감에 따라 부동산 가격 하락의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현재 예적금 금리는 평균 3%까지 오른 상태입니다. 향후 금리인상이 예정되어 있는 바 연말까지 더 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본적으로 금리가 올라가면 부동산 가격에 부정적인 요소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바 연말까지는 부동산 가격이 침체상황을 보일것으로 전망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전망이 항상 바뀌고 있습니다. 연초만 해도 국내외 정세 자체가 미국의 테이퍼링, 금리인상 우리나라의 금리인상, 양적긴축 등으로 주식 등 자산가격에는 악영향이 미칠 요소들이 존재하나 결국에는 정상적인 경제상황으로 돌아가 우상향할것이라는 전망이 많았으나,

    코로나의 종식이 되지 않고 있고, 우크라이나VS러시아의 지정학적 위험에 따라 현재 원유 및 원재료가격 폭등등의 상황을 맞아 여러 자산가격의 수치가 좋지 못합니다.

    2022년에는 주식, 코인, 부동산 등 자산가격시장에 어느정도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의 인상으로서의 자산가격 경로(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산가격경로

    기준금리 변경은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자산가격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금리가 상승할 경우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자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미래 수익의 현재가치가 낮아지게 되어 자산가격이 하락하게 된다. 이는 가계의 자산, 즉 (wealth)의 감소로 이어져 가계소비의 감소 요인이 된다.

    그러나 위기는 곧 기회가 되기 때문에 무리되지 않는 선에서 소액을 주기적으로 매수하신다면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향후 큰 수익이될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물가상승률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고 있고

      한미간 금리가 역전된 상황에서는 앞으로 금리가 더 오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 현재 한은에서 발표한 자료로는 올해 말까지 기준금리를 약 3%까지

      인상할 것으로 보입니다.

    • 매달 발표되는 CPI를 보면 앞으로 금리의 향방을 예측하는 것에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적금금리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서 바뀌면 우리나라 금리는 미국연준의 금리인상여부와도 밀접한데 7월에 연준의 자이언트급 금리인상에 따른 우리나라도 금리인상이 예상되며 그에따른 대출부담 증가로 부동산 거래감소 요인중에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