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9.26

자동차나 배를 타면 왜 멀미를 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모든 사람이 멀미를 하는건 아니지만, 유독 자동차나

배를 타면 멀미를 심하게 하는 사람이 있는데요.

자동차나 배를 타면 왜 멀미를 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으로 보고 있는 시각적인 정보는 계속 움직이고 있는데 몸은 가만히 있기 때문에 인지 기관의 오류로 인해서 멀미가 발생하게 되는 것 입니다. 하지만 사람에 따라서 멀미 정도는 차이가 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움직이고 있는 주변 배경에 의해 시각적으로는 움직이고 있다고 뇌가 판단하지만 실제로 몸은 정지되어있기 때문에 인지의 오류로 멀미가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각 정보와 몸의 기관의 인식이 달라지기 때문에 멀미를 하게 됩니다. 멀미의 종류는 여러가지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귀 안에는 전정기관과 평형기관이 있어 중력과 움직임을 감지하게됩니다.

    자동차의 덜컹거림이 심하거나 배나 비행기처럼 평소느끼지못한자극이 계속주어지면 어지러움이나 메스꺼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차나 배를 탈 때 멀미가 나는 이유는 내부 균형 감각과 시각 정보가 상충하기 때문입니다. 뇌는 시각적으로 정체된 것으로 인식되면 내부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하지만 차나 배가 움직이면서 내부 균형 감각과 시각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멀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멀미를 완화하기 위해는 차나 배를 탈 때 시야를 고정시키거나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등의 방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나 배를 타면 멀미를 하는 이유는 시각과 전정기관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시각은 움직이는 것을 보면서, 전정기관은 몸의 움직임을 감지합니다. 자동차나 배를 타면 시각은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전정기관은 움직이지 않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게 됩니다. 이 두 가지 신호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멀미가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나 배를 타면 멀미를 하는 이유는 시각과 전정기관, 체성감각의 정보가 서로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시각은 주변 환경의 움직임을 감지합니다. 자동차나 배를 타면 주변 환경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전정기관은 몸이 움직이는 것처럼 느낍니다. 체성감각은 몸의 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합니다. 자동차나 배를 타면 몸이 움직이는 것처럼 느낍니다.

    이러한 정보가 서로 맞지 않으면 뇌가 혼란을 일으키고, 멀미 증상이 나타납니다. 멀미 증상으로는 어지러움, 구토, 두통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나 배 멀미는 귓속의 전정기관과 눈이 보내는 움직임 정보가 서로 불일치할 때 발생합니다.

    전정기관은 귓속에 있는 기관으로, 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정기관은 세반고리관과 전정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세반고리관은 회전 운동을 감지하고, 전정낭은 직진 운동과 가속도, 감속도를 감지합니다.


    눈은 시각 정보를 통해 몸의 움직임을 감지합니다.


    자동차나 배를 타고 이동할 때, 몸은 실제로 움직이고 있지만, 눈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합니다. 이때 전정기관은 움직임을 감지하지만, 눈은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합니다. 이렇게 뇌에 전달되는 움직임 정보가 서로 불일치하면 멀미가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나 배를 타면 멀미를 하는 것은 눈으로 보는 정보과 몸에서 느끼는 정보가 상이하여서 어지러움을 느끼는 것입니다. 우리가 배를 타면 파도를 바라보고 있으면 눈은 파도의 움직임을 뇌에 전달하고, 귀에 있는 내이는 배의 움직임을 신호로 뇌에 보내게 되는데, 이 신호가 상반 될 때 멀미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몸이 흔들릴 때 어지럼, 메스꺼움, 구토,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멀미라고 한다. 몸은 가만히 있어도 시야가 움직일 때 멀미가 나타나기도 한다. 흔히 경험하는 멀미는 차를 탔을 때와 같이 몸이 수동적으로 움직일 때 나타난다. 이는 차를 탈 때 평소 생활에서 경험해 보지 못하던 신체의 가속을 느끼기 때문이고, 전정감각과 시각 자극의 불일치 등에 의하여 증세가 나타난다. 종류는 차멀미, 뱃멀미, 비행기멀미 등이 있다. 반대로 오랫동안 배를 타고 다니다가 육지에 내렸을 때에는 계속 배에 타고 있는 것처럼 흔들리는 느낌을 경험하기도 한다.


    멀미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시각 정보와 평형감각 사이의 괴리가 커야 하며 그 괴리를 견디는 정도는 사람마다 편차가 있다. 예를 들어, 배나 차를 타더라도 일직선으로 뻗은 도로를 타고 시내를 천천히 달리거나, 해안가를 지나면 시각 정보도 자주 바뀌기 때문에 멀미가 발생할 확률이 줄어든다. 반면 경사가 심하거나 180도에 가까운 굽이가 많은 산길 등의 굽이가 많은 길을 달리거나, 파도가 거센 바다에서 배를 몰면 평형감각이 심하게 어긋나기 때문에 멀미가 쉽게 발생한다.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배나 자동차 등의 이동수단을 탑승해서 이동함에 따라 평소보다 과도한 움직임이 지속되고, 균형을 조절하는 내이 부분을 과도하게 자극하게되어 멀미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