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살짝개성있는데이지
살짝개성있는데이지

산업용 로봇 제어에 대한 질문 있습니다.

1. 산업용 로봇은 보통 뭐로 조작하나요? 티칭 펜던트? PC 제어? PLC 제어? 터치 패널? 태블릿? 전용 컨트롤러? 이런 것들 중 뭐로 조작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특히 현대자동차 HMGICS, LG 전자 스마트 파크 같은 데서는 생산현장에 사람이 없고 디지털 커맨드 센터에 사람이 컴퓨터로 로봇들을 조작하는 것 같은데 정확히 어떻게 조작하는지 알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2. 로봇이 선이 연결돼 있지 않고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나요?

3. 5G 스마트팩토리 원격제어기술이 나온 지 오랜데 왜 아직도 생산현장에 사람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핀란드에 있는 공장을 한국 전자통신연구원에서 제어할 수 있을 정도라고 하는데.

4. 산업용 로봇 제어를 노후 대비용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전공은 물리학입니다.) 혹시 자격증을 따야 하는지 여쭤봅니다? 따는 게 좋으면 무슨 자격증을 따면 되는지 알려주세요. 자동화설비기능사, 자동화설비산업기사, 전기기능사, 전기기능장, 피복아크용접기능사, 이산화탄소가스아크용접기능사, 가스텅스텐아크용접기능사, 용접산업기사, 용접기사, 용접기능장, 로봇하드웨어개발기사, 로봇소프트웨어개발기사, 로봇기구개발기사 중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용접로봇과 관련된 자격증이 용접뿐이고 다른 자격증하고 관련 없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산업용 로봇은 주로 여러 방식으로 조작됩니다. 티칭 펜던트는 로봇 팔을 직접 조작하여 동작을 티칭하는 장치로 많이 사용되고, PC 제어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습니다. PLC는 생산라인의 자동화 조작에 사용되며, 터치 패널이나 태블릿은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LG 전자 스마트 파크나 현대자동차 같은 곳에서는 전용 컨트롤러나 PC 기반의 디지털 커맨드 센터가 주로 사용됩니다. 이 센터에서는 로봇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사람은 컴퓨터로 이를 모니터링하면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산업용 로봇은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는 기술이 이미 존재합니다. 5G 같은 고속통신망이 이를 가능하게 합니다. 그러나 현재 무선 네트워크의 안정성 및 보안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환경에서 무선 제어가 활용되지는 않습니다.

    스마트팩토리 환경에서도 인간의 개입이 필요한 이유는 비상 상황 대처, 설비 점검 및 유지보수 때문입니다. 완전한 자동화는 여러 어려움이 있어 현재는 반자동화 상태가 일반적입니다.

    노후 대비로 생각하고 계신다면, 기초 전기와 전자 지식을 바탕으로 자동화설비산업기사나 로봇하드웨어개발기사, 로봇소프트웨어개발기사를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로봇 관련 자격증은 앞으로의 자동화 산업에서 유용할 것입니다. 용접로봇과 관련된 분야라면 용접 기술도 도움이 되겠지만, 용접로봇의 제어와 유지보수는 자동화 기술과 더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산업용 로봇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작됩니다. 전통적으로 티칭 펜던트가 많이 사용되지만, PC 제어나 PLC, 터치 패널, 전용 컨트롤러와 같은 시스템도 활용됩니다. 특히 최근 현대자동차와 LG 전자 등에서는 디지털 커맨드 센터에서 원격으로 로봇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통해 효율적으로 조작하고 있습니다.

    무선 제어 역시 가능합니다.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하면서 산업용 로봇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Wi-Fi, 블루투스, 5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활용됩니다.

    5G 스마트팩토리 기술이 발전했음에도 사람이 현장에 여전히 있는 이유는 시스템 오류나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완전 무인화를 위해서는 인간의 판단력을 대체할 수 있는 고도화된 AI 시스템이 더 발전해야 할 것입니다.

    노후 대비용으로 산업용 로봇 제어에 관심이 있다면,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자동화 관련 자격증 중에서는 자동화설비기능사나 로봇소프트웨어개발기사가 유용할 것입니다. 용접 관련 자격증은 용접로봇과 더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용접 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한 경우 선택할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1. 대부분의 산업용 로봇은 작동은 칩에 프로그래밍된 패턴에 의하여 움직입니다. 그리고 하나부터 열가지 다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어느 정도 관여를 합니다. 컴퓨터로 제어할 수 있고, 아니면 기타 컨트롤러로 제어합니다.

    2. 무선으로 제어하는 로봇도 있긴 한데, 아직은 유선이 대다수입니다.

    3. 산업화 로봇이나 자동화는 미디어에서 너무 과장되게 묘사하는 편입니다. 실제로는 자동화기기도 전체 생산라인에서는 아직은 미미한 수준입니다.

    4. 산업용 로봇제어를 노후 직업으로 생각한다면 솔직히 권유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차라리 지금부터 준비하는 것이 낫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산업용 로봇은 보통 PLC로 제어됩니다.

    로봇의 조건부 동작이 많기 때문에 일부컨트로 조작기로는 불가하기에 PLC로 많이들 조작하는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