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더워요111
더워요11124.02.02

맑은 날에도 갑자기 하늘에서 우박이 내리는 것은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

간혹 가다가 보면 마른 하늘에서 갑자기 우박이 쏟아져내리는 경험을 하게 되는데

어떤 과학적 원리로 하늘에서 우박이 갑작스럽게 내릴 수 있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

    원인은 바로 대기의 불안정 입니다. 이 때 발생하는 강한 상승 기류에 의해서 물방울들이 얼면서 우박이 되어 떨어지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유는 우박의 생성 원리가 대기 층에 있는 차가운 공기와 따뜻한 공기에 의해 상승 기류로 인해서 주변에 있는 물방울들이 과냉각되어 우박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강한 상승기류가 발달하면서 공기중에 수분이 포화되면서 갑자기 온도가 내려가면서 우박이 만들어 질 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대기 상층에 있는 차가운 공기와 바로 아래에 있는 가운데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할 때 생깁니다.

    우박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얼어 구름 속에서 고체로 형성되어 형성된 얼음 입자들이 고층대기의 상승 기류에 의해 상승하다가 역학적인 힘에 의해 무게가 지탱될 수 없게 되면 지표면에 떨어지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차가운 상공에서 생성된 얼음 입자는 서서히 하강하면서 조금 더 낮은 곳에 있는 과냉각 물방울과 결합하여 점차 크기가 커지게 됩니다.

    이때 매우 강한 상승기류를 만나면, 상승기류에 휩쓸려 다시 높은 곳으로 밀려올라가게 되는데요 이 과정이 수차례 반복하면서 커다란 우박으로 성장하게되어 아무리 더운날이라도 상승기류가 발생하는 것이라면 우박이 내릴 수 있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 불안정으로 인해 강한 상승 기류가

    발생하면 빗방울이 얼어붙으면서

    우박이 형성됩니다.

    육지의 온도가 높아지는

    오후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승 기류는 빗방울을

    계속 들어 올리면서 얼게 하고 이

    과정에서 빗방울은 점점 더 커져

    우박이 됩니다.

    지표면의 따뜻한 공기와 상층의

    차가운 공기가 만나면 불안정한 대기 상태가 형성됩니다.

    이 불안정한 대기 상태에서

    강한 상승 기류가 발생하여 우박이 형성됩니다.

    서울에서 2023년 2월 2일에 발생한

    갑작스러운 우박은 이러한 원리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초여름(5~6월)과

    가을(9~10월)에 우박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는 봄과 가을에는

    기온 변화가 격렬하여 불안정한

    대기 상태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오후에 갑자기

    무더워지는 날씨는 우박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극심한

    강수 현상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갑작스러운

    우박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는 대기 불안정을

    심화시키고 강한 상승 기류

    발생 가능성을 높입니다.

    갑작스러운 우박은 피해 예측이

    어려워 예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날씨 예보를 통해 우박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고

    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박 발생 시에는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여 피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갑작스러운 우박은 강한 상승

    기류 차가운 공기와 따뜻한

    공기의 만남 초여름과

    가을의 불안정한 대기 상태 기후 변화 등의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예방하기는 어렵지만 날씨

    예보를 통해 주의하고 안전한 대피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맑은 날에도 갑자기 하늘에서 우박이 내리는 것은 대기 중에 있는 상승 기류와 하강 기류의 충돌로 인해 발생합니다. 상승 기류는 습한 공기를 높은 고도로 올려놓고, 하강 기류는 차가운 공기를 낮은 고도로 내려놓습니다. 이 두 기류가 충돌하면서 고체인 우박이 형성되고 지면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우박은 대기 중에서 얼어붙은 물방울이다. 일반적으로 우박은 높은 고도에서 떨어지는 비가 얼어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가끔씩 맑은 날에도 갑자기 우박이 내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한 먼지나 소금 결정 등이 우박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우박이 형성되는 과정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가 얼음 결정체나 먼지와 같은 물질에 의해 응축되어 얼음 결정이 형성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이 얼음 결정체는 대기 중에서 떨어지는 비가 얼어서 우박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맑은 날에는 이러한 얼음 결정체가 부족하기 때문에 우박이 내리는 것이 아니라 비가 내리게 됩니다.

    하지만 대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한 먼지나 소금 결정 등이 우박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얼음 결정체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대기 중에서 얼음 결정체의 역할을 대신하여 우박이 형성되는 과정을 촉진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맑은 날에도 이러한 물질들이 존재한다면 우박이 내리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그리고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기압 변화나 기온 변화 등도 우박이 내리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기압 변화는 대기의 움직임을 유발하고 이는 물질들이 대기 중에서 이동하게 만들어 우박이 형성되는 과정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온 변화는 대기 중의 수증기 농도를 변화시키고 이는 우박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맑은 날에도 갑자기 우박이 내리는 것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질들과 기압 기온 등의 변화가 우박이 형성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갑작스러운 우박이 내리는 현상은 대기 과학의 연구 대상 중 하나이며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분야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이 갑자기 내리는 현상은 대기가 불안정하고 상승기류가 강한 경우에 발생합니다. 우박은 빗방울이 구름의 상층부에서 얼음으로 변하고, 녹았다가 다시 얼었다가를 반복하면서 크기가 커지는 얼음 덩어리입니다. 상승기류가 약해지거나 우박의 무게가 너무 커지면 하늘에서 떨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이 만들어지는 원리는 이렇습니다.


    날씨가 더워지면 지표면 온도가 높아집니다. 지표면에서 달궈진 뜨거운 공기는 가볍기 때문에 위로 올라가게 되고, 대기 중에 있던 찬공기와 뒤섞이면서 대기가 요동치게 됩니다. 이때 길쭉한 소나기 구름이 만들어지는데요. 소나기 구름 윗부분은 기온이 영하권이라 얼음 알갱이를 안고 있습니다.


    이 얼음 알갱이가 떨어지다 상승 기류를 만나 다시 떠오르고, 떨어졌다 올랐다를 반복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다른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들이 계속 뒤엉켜 크기가 커지는데요. 크기를 키운 얼음알갱이는 무거워져 땅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게 바로 우박이 되는 겁니다.


    여기에 지형도 우박을 만드는데 역할을 하는데요. 땅에 떨어지는 거리가 길면 중간중간에 따뜻한 공기를 만나 녹아서 비가 되지만, 강원 산지같이 지대가 높은 경우에는 떨어지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서 얼음알갱이가 녹지 않고 우박으로 쏟아지게 됩니다.


    이런 맑은 하늘 속 대기 불안정은 앞으로 곳곳에서 관측될 것으로 보입니다. 늦은 오후에는 강원 남부 산지와 경북 내륙에도 소나기가 내리는 곳이 있을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 내리는 원인은 공기 중에 있는 수분이 응결되고 얼게 되면서 얼음 알갱이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날씨가 맑다고 해도 공기 중에 수분이 많고 순간적으로 얼게 되었다면 우박이 내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지표면에서 뜨거워진 공기는 대류현상으로 위로 올라가 상층부의 찬공기와 섞이게 되면서 대기는 불안정하게 됩니다. 이때 구름이 만들어지고 영하의 기온으로 구름속 수증기들은 응결을 하게됩니다.

    응결된 얼음 알갱이들이 중력에 의해 떨어지다가 상승기류를 만나 다시 올라갔다 내려갔다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크기는 계속커지는데 크기가 커지면 땅으로 떨어지게 됩니다.지표면은 따듯하지만 상층부에는 기온변화가 많아 우박으로 내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에서 비가 오늘건 우리가 보는 하늘위 즉 가시권 위의 구름층에서도 가능한데요. 그 층의 온도가 낮아 비가 우박으로 바뀌어 마른하늘이라고 본 상황이라도 우박이 떨어질수 있는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