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이 날때 해열제 사용 기준(체중,간격)과 병원 가야할 신호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문가님 아이가 열이날때 무조건 해열제를 먹이는게
안좋다고 하는데 열이 어느정도 날때 해열제를 먹여야 하는데
해열제 먹일때 기준이나 체중과 비례해서 먹여야 하는지가 궁금 합니다.
그리고 무조건 해열제 먹이는게 좋지 않다고 하면 병원을 데리고 가는게 좋다고 하는데
병원은 언제 가야되는지도 알수 있을지
저희 아이는 열이 나면 해열제를 무게를 확인하면서 먹이고 해열제를 먹여도 안들으면
병원을 가는데 어떨때 얼마튼 해열제 먹이고 병원가는지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호현 약사입니다.
열이 날때 오히려 해열제를 먹이지않고 방치하는게 더 안좋은 결과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37도 내외의 미열이라면 해열제로 어느정도 조절이 가능하지만 38도 전후라면 병원에 가보시는게 좋으며 열뿐만아니라 아이의 증상에 따라서도 많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아이들은 기초 체온이 높기에 귀 체온 기준으로 38도 이상일 때를 열이 난다고 봅니다 이 이전에 미열인 경우에는 냉각시트를 부착하여 열이 오르지 않게 관리를 하고 그래도 열이 38도 이상으로 넘어가는 경우에는 해열제를 복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해열제는 몸무게의 3분의 1 용량으로 먹여주시면 되며 아세트아미노펜 성분과 부루펜 계열이 2시간 간격으로 교차가 가능합니다. 하루 최대 각각 4회까지는 가능하며 교차로 계속 복용해도 열이 오르는 경우에는 병원 진료를 권장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해열제는 체온이 기준이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컨디션이 기준이 되어야합니다. 좀 높더라도 아이가 잘자거나 잘 놀고 있다면 먹이지 않으셔도 되고요. 컨디션이 떨어져서 아세트와 이부를 둘 다먹여도 컨디션이 계속 떨어져있다면 병원에 가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상우 약사입니다.
아이 해열제는 보통 38도 전후에서 아이가 힘들어할 때 체중에 맞춰 아세트아미노펜이나 이부프로펜을 사용하면 됩니다. 생후 3개월 미만은 38도 이상이면 곧바로 진료가 필요하고, 해열제를 써도 아이가 축 늘어지거나 숨이 가쁘고 경련,탈수,발진이 동반되면 바로 병원에 가야 합니다. 해열제를 가정에서 보통 2~3회 적정 용량을 써도 호전이 없으면 더 기다리지 말고 진료받는 게 안전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너무 고온의 열이 나거나 과도한 구토나 설사증상이 지속이 된다면 되도록이면 응급실이나 병원에 방문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길병철 약사입니다.
해열제의 사용 기준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습니다.
1) 해열제 사용기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해열제는 아이의 컨디션과 체온을 고려하여 먹여야 합니다.
보통은 38도 이상이면서 아이가 힘들어하면 먹이셔야 합니다.
해열제를 먹이기전에 수분 보충, 얇은 옷 입히기, 미지근한 물수건 마사지 등을 고려하셔도 좋습니다.
또한, 38도 이하더라도 아이가 축 처지고 힘들어하면 먹이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2) 해열제의 용량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은 체중당 10mg/kg을 먹이시는 것이 맞습니다.
챔프 시럽 빨간색의 경우, 약물의 농도는 32mg/ml입니다.
즉, 10kg아이의 경우 -> 10kg * 10mg/kg 그리고 32로 나눠주면 해당 ml가 나옵니다.
결론적으로 3.125ml을 먹이시면 됩니다. (체중 곱하기 10, 나누기 32)
덱시부프로펜 계열의 경우, 0.4~0.6ml/kg을 먹이시면 됩니다.
10kg 아이의 경우, 4~6ml정도를 먹이시면 되는 것입니다.
3) 응급실을 방문해야할 신호
아이가 축 늘어지고 많이 힘들어할 때
탈수 신호, 소변을 잘 보지 못할 때
해열제를 먹여도 고열이 전혀 떨어지지 않을 때
열이 3일 이상 지속될 때
경련을 할 때
즉, 아이의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 바로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