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Mister Jasonheo
Mister Jasonheo22.12.14

가스로 불을 키다보면 불이 푸른색인데 왜 그런거죠?

가스레인지나, 토치로 불을 킬때 끝부분이 푸른색이 띈 불길인데 왜 그런건가요?

산불이나 큰불들은 엄청 찐한 빨간색인데 불씨가 작아서 그런가요? 아니면 발화점이 낮아서 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불은 얼마나 연소하냐에 따라 색깔이 달라집니다.

    파란불의 경우는 <완전연소>를 의미합니다.

    불꽃과 산소가 충분히 섞여 연료가 끝까지 타면 완전 연소가 일어납니다.

    즉, 가스레인지는 완전연소를 하고 있기 때문에 파랗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4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질이 연소할 때 내는 빛은 온도에 관계없이 모두 파란색 입니다. 불의 색깔이 파란 이유는 연소하는 과정에서 파란 빛의 스펙트럼을 내뿜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가연성 물질에 포함된 원소들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화학반응이 일어나고 다양한 색깔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스레인지와 같이 완전연소 하게되면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이 정상입니다. 오히려 노란색 또는 빨간색의 불이 보이면 가스레인지에 이상이 있어 불완전 연소가 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완전연소를 하면 파란색이 됩니다. 불완전 연소시에는 빨간색으로 변합니다. 따라서 빨간색으로 변했을 때 공기가 안좋아졌다고 하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완전연소와 불완전연소의 차이입니다.

    연료와 산소가 충분히 섞이면 연료가 완전하게 연소하는 완전연소가 진행됩니다. 그 경우 불꽃의 색은 푸른색으로 나타납니다.

    하지만 말씀하신 산불같은 불은 불꽃 바깥에서만 산소가 제공되며 불완전 연소가 진행되며 연료의 내부까지 완전히 타지 읺는 상태가 되며 붉은색 불꽃을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은 진한 빨간색일 때 600~800℃, 노란색일 때 1100℃, 흰색일 때 1300~1500℃, 그리고 가장 뜨거운 푸른빛일 때 1400~1650℃입니다. 그리고 가스 불은 산소와 충분히 섞여서 완전연소가 일어납니다. 그리고 완전연소가 일어난 불꽃은 더 높은 온도의 푸른빛을 띕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스레인지 불꽃 빨간색인 이유


    가스레인지는 파란색 불꽃이 나와야 정상입니다. 하지만 빨간색 불이 나온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1. 집안 산소가 부족할 때

    2. 산소와 연료 불균형

    3. 습도가 높을 때

    4. 화구에 이물질


    가스레인지 불이 정상적으로 완전연소가 될 경우 파란색 불이 켜져야 됩니다. 하지만 붉은색 불이 나올 경우 위에 나열한 경우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빨간 불이 나올 경우 가스가 불완전연소로 인해 생기게 되는데요. 이럴 때 일산화탄소가 남아 있기 때문에 가스불이 붉은색일 경우 계속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