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헌티셔츠
헌티셔츠

공급주수와 재고회전율을 어떻게 해석하나요?

공급주수는 재고회전율의 역수이고 재고회전율은 매출원가를 평균재고액으로 나눈 값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이 공식의 의미가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공급주수와 재고회전율은 모두 재고 관리와 관련된 중요한 지표로, 재고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관리되고 있는지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각 지표의 의미와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재고회전율 (Inventory Turnover)

     

    재고회전율은 일정 기간 동안 재고가 얼마나 자주 판매되거나 소비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재고회전율=평균재고액/매출원가

     

    - 매출원가 (COGS, Cost of Goods Sold): 판매된 상품의 원가입니다.

    - 평균재고액: 일정 기간 동안 보유한 재고의 평균 금액입니다. 보통 시작 재고와 종료 재고의 평균값을 사용합니다.

     

    재고회전율의 해석

    - 재고회전율이 높을수록: 상품이 빠르게 팔리고 재고가 자주 교체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재고가 효율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 재고회전율이 낮을수록: 재고가 많이 쌓여 있고 판매가 원활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재고 관리에 문제가 있거나 수요 예측이 부정확할 수 있다는 신호입니다.

     

    2. 공급주수 (Days Sales of Inventory, DSI)

     

    공급주수는 재고가 얼마나 빨리 소진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평균적으로 하나의 재고가 몇 일 동안 판매되는지를 보여줍니다. 공급주수는 재고회전율의 역수로 계산되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급주수=재고회전율/365

     

    공급주수의 해석

    - 공급주수가 낮을수록: 재고가 빨리 소진되고 있다는 의미로, 기업이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공급주수가 높을수록: 재고가 오래 보유되고 있다는 의미로, 기업의 재고가 과잉이거나 판매가 원활하지 않다는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3. 공식의 의미

     

    - 재고회전율은 매출원가가 평균 재고에 대해 얼마나 많이 회전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재고회전율이 5라면 평균 재고가 5번 팔렸다는 의미입니다.

    - 공급주수는 이 값을 일 단위로 환산한 것으로, 재고가 평균적으로 몇 일 동안 소진되는지에 대한 시간적 측정을 제공합니다. 공급주수가 60이라면, 평균 재고가 60일 동안 팔리지 않거나 보유된 상태에 있다는 의미입니다.

     

    결론적으로, 이 두 지표는 재고 관리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재고회전율이 높고 공급주수가 낮으면: 재고가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는 의미로, 이는 재고 관리가 잘 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 재고회전율이 낮고 공급주수가 높으면: 재고가 과도하게 쌓여 있다는 의미로, 재고 관리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재고회전율은 매출원가를 평균재고액으로 나눈값으로, 일정 기간 동안 재고가 얼마나 빠르게 팔리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공급주수는 재고회전율의 역수로, 재고가 한 번 회전하는데,. 걸리는 평균 일 수를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