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구한말의 우리나라가 국권을 잃어가는 과정에 관여했던 관료들 중 을사오적, 정미칠적, 경술국적에 해당하는 인물들은 누가 있었나요?

우리나라가 국권을 잃어가는 과정에서의 을사오적, 정미칠적, 경술국적에 해당하는 인물들은 누가 있엇나요?

또 이 세 가지에 모두 이름을 올린 사람은 누구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을사오적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에서 을사늑약의 체결을 찬성했던 학부대신 이완용, 군부대신 이근택, 내부대신 이지용, 외부대신 박제순, 농상공부대신 권중현의 다섯 명의 매국노를 가르킵니다.

     

    정미칠적은 1907년 7월, 정미년에 체결된 한일신협약 조인에 찬성한 7명의 친일파 내각 대신을 가리킨다.

    정미칠적은 내각총리대신 이완용을, 송병준(농상공부대신), 이병무(군부대신), 고영희(탁지부대신), 조중응(법부대신)응, 이재곤(학부대신), 임선준(내부대신)입니다.

     

    경술국적은 1910년 8월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찬성하고 협력한 내각총리대신 이완용, 시종원경 윤덕영, 궁내부대신 민병석, 탁지부대신 고영희, 내부대신 박제순, 농상공부대신 조중응, 친위부장관 겸 시종무관장 이병무, 이완용의 처남인 승녕부총관 조민희등 8명입니다.

    이중 3적에 해당하는 사람은 이완용인데 여러모로 일제시기 친일반역자로 GOAT를 달성하였다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2적에 해당하는 인물은 박제순, 이병무, 고영희가 있겠습니다.

  • 대한제국이 일제 식민지화 과정에서 친일 매국노의 협력이 컸습니다. 구체적으로 1905년 을사늑약 체결시 협력한 을사5적은 이완용(학부대신), 이근택(군부대신), 이지용(내부대신), 박제순(외부대신), 권중현(농상공부대신)입니다.

    그리고 1907년 한일신협약 체결에 협력한 정미칠적은 이완용(내각총리대신), 송병준(농상공부대신), 이병무(군부대신), 고영희(탁지부대신), 조중응(법부대신), 이재곤(학부대신), 임선준(내부대신)입니다.

    또한 1910년 한일병합조약 체결한 찬성한 여덟명의 대신으로 경술국적은 이완용(내각총리대신), 윤덕영(시종원경), 민병석(궁내부대신), 고영희(탁지부대신), 박제순(외부대신), 조중응(농상공부대신), 이병무(친위부장관), 조민희(승녕부총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