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비장한황여새140
비장한황여새140

유가와 물가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최근 유가가 올라가는 기사를 연일보다가 어느 순간 물가가 올라가는 기사가 많아지는듯합니다.

유가가 올라가면 왜 물가가 올라가나요?

또한 올라간 물가는 떨어지지않나요?

유가가 떨어지면 물가도 떨어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국제유가와 아파트 시세의 증가, 환율의 감소는 소비자 물가지수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한편, 소비자 물가가 증가하게 되면 코스피지수 또한 상승하게 되는 요인이 됩니다.

    • 유가랑 물가랑은 상당히 상관관계가 높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것들은 유가 없이는 만들지 못하거나 생산하더라도 생산속도가 떨어집니다.

      그래서 유가가 올라가면 물가도 자동적으로 올라갑니다.

      만약 유가가 떨어지면 물가는 보통 그 상태로 유지되곤합니다.

    • 러시아와 우쿠라이나 전쟁등을 원유 및 원자재 ,곡물가격 상승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특히 원유가격상승은 경제에 있어서 근본이 되는것으로 산업기반이 됩니다..공항,운반,,운송장비는 물론 건설장비,,섬유제품등,,원유를 기반으로 하는 경제활동이 많아, 가격상승은 결국 물가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이며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되지 않은 이상 당분간 상승 및 횡보는 계속될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직관적으로 생각하면 쉽게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일단 한국은 100% 원유를 수입합니다. 수입 원유로 다양한 휘발유, 경유, 석유화학 제품을 제조하여 내수 또는 수출합니다. 원유 가격이 오르면 당연히 원유에서 파생되는 각종 필수재들의 가격이 올라가게 되어 있습니다.

      휘발유나 경유 가격 상승은 대표적인 물가 상승 요인이며 석유 부산물 가격 상승도 마찬가지로 물가 상승을 부릅니다. 우리가 입는 의류 원단의 경우 원면 빼고는 거의 석유 부산물로부터 만듭니다.

      아울러 전기 생산 측면에서도 석유를 많이 사용하는데 원유가 급등은 전기 생산 단가를 올려 모든 제조업의 원가를 올립니다.

      이상 간략하게 참고 말씀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유가는 우리나라의 에너지 관련 제품에 영향을 미칩니다. 단순히 기름값, 가스값이 우선적으로 올라가고 또한 많이 유가제품의 제품도 가격이 올라가게 됩니다. 특히 미국 등 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국가에서는 유가의 가격이 인플레이션에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유가 기름값을 의미하죠(당연하지만) 기름은 유통수단(자동차, 배, 비행기 등)에 쓰이죠.

      일단 이것 때문이라도 유가가 오르면 물가가 오를 수 밖에 없습니다. 유통비가 올랐으니까요 물건을 예전에인건비+유통비+마진 이렇게 받았다면 유통비가 오르니 물가가 오르게 되지요.

      그 외로는 우리 주위에 쓰이는 석유화학 제품들-플라스틱-이 있습니다. 비닐도 석유에서 만들구요, 아무튼 이런 물건들의 값이 오르면서 물가도 오르게 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