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스포츠·운동

야구

치즈인사이즈
치즈인사이즈

왜 한국 KBO 리그에는 일본인 용병이 없었나요?

일본인 투수가 KBO에 오지를 않은 건가요? 아니면 일본과 감정이 있어서 일본 투수를 용병으로 고용하지 않은 건가요?

아니면 굳이 일본 선수를 용병으로 데려올 돈이면 베네수엘라나 푸에리토리코처럼 야구 강국의 선수를 데리고 올 수 있어서 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일본인이라고 외국인 선수로 쓰지 않는 게 아닙니다.

    일본과의 감정적인 문제와는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여건이나 조건이 맞지 않으니 중남미나 미국인 선수를 선호하는 것이죠.

    현재 외국인 선수에게 책정된 금액으로는 일본에서 선발급 투수를 데려올 수 없는 금액입니다.

    그렇다고 아예 일본인 선수가 없던 건 아닙니다.

    2003년 두산베어스에서 활약한 이리키 사토시, 2006년 SK와이번스의 내야수 시오타니 가즈히코, 2008년 우리히어로즈의 다카쓰 신고, 2009년과 2010년의 SK와이번스 2011년 삼성라이온즌의 카도쿠라 켄, 2010년 LG트윈스의 오카모토 신야가 있었습니다.

    SSG랜더스가 올해 일시 대체 영입한 시라카와 케이쇼는 13년만의 일본인 선수입니다.

  • 자국리그에서 받는 연봉이 훨씬 세고 하위리그인 우리나라에 오기 싫은거에요 일종의 자존심입니다. 기껏 하위리그로 왔는데 거기서도 못하는 그냥 국제망신이 되니까요. 그리고 우리나라 입장에서 힘 좋은 메이저나 마이너리거를 델고 오면 되지 굳이 일본 선수를 델고 올 필요가 있나요? 일본에서 성공하면 메이저를 가는거고 굳이 일본에서 실패한 선수를 데려고 올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요즘은 메이저에서 실패했지만 가능성있는 선수나 혹은 트리플에이 유망주를 데려오고 있씁니다. 굳이 일본 선수 영입은 필요없다고 생각해요

  • 일본프로야구 출신으로 일본 선수가 용병으로 국내에 들어온 경우가 없지는 않습니다

    대표적으로 카도쿠라라는 투수가 들어오기도 했었지만 일본보다 마이너리그 선수들의 실력에 더 무게를 두기 때문에 마이너리그 선수를 주로 데려오는 것입니다

  • 날씨가 좋은날에 여행가고 싶다입니다.한국리그에서 굳이 일본인용병을 데리고 올필요없죠. 우리나라가 일본인을좋아하지않을뿐더러 굳이 실력이 더좋은 나라선수가있는데 일본선수를 스카웃할필요가 없습니다.

  • 한국KBO에 일본인 투수가 있습니다. 아마 질문에대한 답변일텐데요. SK와이번스 투수중 사라카와라고 오늘 선발 투수 입니다.

  • 일본은 한국인을 데려가는데 왜 한국야구는 일본용병이 없을까 하실텐데

    최근에는 일본은 한국인을 데려가지 않죠 그 이유가 뭐냐면

    굳이 일본인들은 한국에 갈 이유가 없기 때문이죠

    연봉 부터가 많이 차이가 나고 지원도 다르기 때문에

    한국인을 일본야구에서 최근에 데려가지 않는 이유도

    예전엔 일본인 만으로 부족했으나 지금은 좋은 일본 선수들이 넘치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여. 우선 연봉이 맞지가 않아서 어렵습니다.

    즉, 데리고 오려면 못해도 일본 리그의 수준급 선수인데..

    수준급 선수이면 아무래도 우리나라 리그에 활동기에는 다소 연봉이 적죠.

    그래서 거의 없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