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SDUTO
SDUTO
25.04.05

정치적인 성향 같은 경우에는 한쪽으로만 생각하는게 많은데 왜 그런거죠

우리나라는 현재 좌파와 우파로 나뉘어져 있는데요 그런데 특히

정치적인 성향이 어느정도 한쪽으로만 생각을 많이 하는데 왜 반대편

사람들의 성향은 이해를 하지 못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기발한파리23
    기발한파리23
    25.04.05

    정치적인 성향도 종교라고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종교도 다른 종교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과 비슷하게 정치도 좌파는 우파를 우파는 좌파를 이해하지 못합니다.

  •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닌 문제라서 그런 것 같아요

    본인이 생각하는 가치관에 무게를 두고 그것이 맞다고 스스로 합리화를 시키기때문에 틀리던 맞던 자기가 맞다고 했던 주장을 끝까지 관철시키는 것이라 다른 의견을 수렴하는것에 어려움이 있지 싶습니다

  • 정치적 편향.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사람들은 균형잡힌 생각으로 판단을 하지만 정치의 문제에서는 그 생각의 결과 하나를 선택해야하는 문제에 봉착합니다.(투표)

    그러므로 내가 선택하는 집단의 정당성을 찾게 되고 자연스럽게 타 집단의 단점을 찾는데 에너지를 쏟게 됩니다.

    즉. 투표-그 결과로 정책이 시행. 되기 때문에 다른것들 보다 편향이 심한편입니다.

  • 너무 극우적으로 치우쳐져 있기때문에 이해를 못하는게 아닐까 조심스럽게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협치와 합의를 해야하지만 너무 서로를 미워하고 지역갈등을 유발하는 등 극단적으로 간것같습니다.

  • 정치적 성향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이유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합니다. 개인의 가치관, 경험, 그리고 주변 환경이 특정 이념에 더 공감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정보의 편향된 소비나 소셜 미디어의 알고리즘이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끼리만 소통하게 만들어 반대 의견을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 우리나라가 탄핵 정국을 맞으면서 국민들의 정치적 이념이 다르다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준 것이 집회인 거 같습니다.

    어느 한쪽에 편향되면 자기의 들보는 보지 못하고 남의 티클을 더 크게 생각하고 폄하하는 경향이 있는 거 같습니다.

    저는 중도라 그런지 좌파와 우파의 장점과 단점이 보이는데, 저도 좌파나 우파가 된다면 어느 한쪽에 생각이 매몰되어 있어서 이성적으로 생각하지 못할 수도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이념은 바뀌지 않는 무서운 정신세계인 거 같습니다.

  • 정치적인 성향이 같은 경우

    반대편의 사람들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각자 바라보는 방향과 관점을

    달리하는 사상의 차이가 아닐까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