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외로운고래123
외로운고래12323.03.07

바다생물이 바닷물을 먹고도 살 수 있는 원리는?

안녕하세요.

바닷물은 염분이 많잖아요.

그래서 일반 생물은 바닷물을 먹고는 살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바다생물들은 아무런 문제가 없던데

어떤 차이가 있어서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생물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먹이를 통해 에너지를 얻고 생존합니다. 그러나 바닷물은 직접적으로 생물체가 에너지를 얻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물질이기 때문에, 바다생물이 바닷물을 먹고도 살 수 있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수분과 물질 대사 바다생물은 해수분과 물질 대사를 통해 바닷물에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바다생물은 바닷물에서 함유되어 있는 물질을 필요한 영양소로 전환합니다.

    2. 염분 배출 바다생물은 바닷물을 먹게 되면, 그 중에 포함된 염분을 필요 이상으로 섭취하지 않도록 염분 배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바다생물은 과다한 염분을 배출하여 세포 내부의 물질 농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수분 흡수 및 배설 바다생물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먹이를 통해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하면서 동시에 수분도 함께 흡수합니다. 먹이를 소화하고 처리하면서 나오는 노폐물을 배설하는 과정에서도 바다생물은 수분을 배출하지 않고 체내에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다생물들은 그들의 생리적 기능에 따라 염분 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일부 바다생물은 염분 농도가 높은 바다에서도 물을 흡수하고 염분을 배출하여 생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어는 강력한 신체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염분 농도를 균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상어의 신장은 염분 농도가 높은 바닷물에서 물을 흡수하고, 염분을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또한, 상어의 혈액에는 염분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필요한 효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바다 생물들은 바다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생리학적 변화를 겪어왔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염분 농도 조절 기능뿐만 아니라, 물 속에서 호흡을 할 수 있는 기능, 수온 변화에 대한 대처 능력 등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적응력은 생존과 번식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 동물들이나 담수어는 바닷물속의 염분을 걸러내지 못해 바닷물을 마실경우 탈수증상을 격거나 몸의 수분이 빼앗겨 쪼그라듭니다 하지만 바다에 사는 물고기의 경우 계속 바닷물을 마시고 아가미로 염분을 배출할수 있어 바다에서 살아갈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 생물이 바닷물을 먹어도 생존하는 이유는 바닷물과 생물체의 세포내 용액 사이의 농도 차이를 조절하는 작용을 하는 적응 기전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 기전으로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바다생물은 염분 배출 기능이 뛰어납니다. 신체내 염분 농도가 높아지면 생물체는 염분을 배출하고 물을 흡수해 내부의 농도를 조절합니다.

    둘째, 생물체의 세포 내부에는 농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수분과 이온 등의 물질이 들어있습니다. 이 물질들은 생물체의 세포막을 통과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세포막을 통과하기 쉬운 물질인 글리세롤과 같은 성분을 생성해내어 바다의 물을 섭취한 후에도 내부 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바다생물은 염분 배출 기능과 내부 농도를 조절하는 성분 생성 기능 등을 활용하여 바닷물을 먹고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에 산소가 많이 녹아있으며,

    바닷물의 소금기는 오줌으로

    배출합니다. 저도 처음에는

    거짓말인줄 알았는데 실험을 해보니

    진짜그래요.(밑은 실험내용)

    1.소금을 넣은 어항 준비(바닷물을 이용해도됨.)

    2.금붕어 3~4정도 넣는다.

    3.금붕어 항문(안 보일수도 잇음)에

    봉지를 단다.(작은 것으로..)

    4.봉지에서 오줌이 다 차면 금붕어에서 뺀다.

    5.현미경으로 조사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생물은 바닷물을 먹고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바다생물의 신진대사와 해수의 화학적 조성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바닷물은 물론이고, 대부분의 생물체의 세포 내부와 세포 외부는 물과 다양한 종류의 물질로 가득 차 있습니다. 이 물질들은 전해질이라고도 하며, 양성이온과 음성이온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바다물에도 이와 같은 전해질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바다생물은 해수 내의 전해질 농도와 그들의 세포 내부의 농도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물과 전해질을 거꾸로 통과시키는 작용을 수행합니다. 이 작용을 osmoregulation(온도와 염도 등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생리현상)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인체의 혈액과 비교하면 훨씬 높습니다. 만약 인체가 바닷물을 마신다면, 셀의 내부와 바깥의 염도 차이가 줄어들게 되어 세포가 물을 잃게 됩니다. 그 결과로 신체는 탈수되어 생존에 위협을 받게 됩니다. 그러나 바다생물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포 내부의 농도를 유지하면서 바닷물에서 염분을 제거하거나, 염분을 처리하여 농도를 맞추는 작용을 수행합니다.

    결론적으로, 바다생물은 세포 내부와 바닷물 사이의 염도 차이를 균형있게 유지하는 osmoregulation 기능으로 바닷물을 먹고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7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생물은 바닷물을 먹지 않고, 그들의 세포 내부에 이미 바닷물과 동일한 농도를 유지하는 해수 조절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해수 조절 작용(osmoregulation)이라고 합니다. 이 작용을 수행하는 방법은 생물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염분이 많은 바닷물을 섭취하여 노출된 세포막에 있는 수송체(ion transporter)를 통해 염분을 분출하고, 염분이 적은 신체액을 보충하기 위해 물을 섭취합니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바다생물은 바닷물을 먹지 않고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