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교육 시킬때 일관성있게 하라고 하던데 어떻게 하는것이 좋은가요?
아무래도 아이들은 마음이 변화무쌍하다 보니 부모들도 헷갈리는 경우가 있던데요.
아이들 교육을 시킬때 일관성있게 하라고 하던데 어떤식으로 하는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일관성이 있다는 것은, 아이의 행동에 동일한 훈육이나 피드백이 가야 한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서 아이가 과자를 5개 먹었는데, 어떤 날에는 과자를 너무 많이 먹었다고 혼내요. 그런데, 아이가 과자를 9개 먹은 날에 딱히 제재 없이 먹으라고 한다면 아이는 혼란을 느낄 수 있겠죠. 이처럼, 동일한 행동에는 그래도 일관적인 훈육과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게 아이가 혼란을 느끼지 않고, 또 반발을 줄이는 방법이 되는 겁니다.
그래서 구체적으로 세부적인 것까지 정하기 어렵겠지만 어느 정도의 기준이나 선을 정해 놓고, 그 기준과 선을 근거로 하여 훈육을 결정하는 등의 일관성을 지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교육을 시킬때 일관성있게 교육하는 이유는 일관성이 없으면 아이가 헷갈려하고 어떤걸 지켜야할지 모르기때문이죠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 교육할때 부모는 교육가치관을 가지고 있어야 일관성있게 할 수 있습니다. 행동, 예의범절, 식사예절, 말씨, 공부, 정리정돈, 안전 그리고 어디까지 아이의 행동을 관대하게 해줄껀가에 따라 아이의 교육도 달라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부모의 교육가치관이 없이 교육할 경우 아이도 혼란이 올 수 있어 안좋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부모의 일관성이 중요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부모의 감정이나 상황에 따라 교육의 원칙이 바뀌면 안되겠습니다.
만약 수학 문제를 한 장씩 풀기로 정했으면 원칙대로 매일 꾸준히 푸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님이 기분에 따라 수학 공부를 안해도 된다고 한다면, 아이는 부모의 눈치만 보게 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