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발전기가 돌아가면서 전기를 생성하는 원리를 알고 싶어요.
영종도 갈때나 대관령 지나갈때 풍력발전기 엄청큰게 잘 돌아가던데~
이게 어떤 원리로 전기를 생성하는건지 몹시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날개)는 바람이 불 때 회전합니다.
회전하는 블레이드는 주축을 통해 발전기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발생한 회전 운동 에너지가 주축을 통해 전달됩니다.
전달된 저속 회전 운동 에너지는 증속기(기어박스)를 통해 고속 회전으로 변환됩니다.
고속으로 회전하는 축은 발전기 내부의 자석과 코일을 회전시킵니다.
이때 발생하는 자기장 변화로 인해 전기가 생성됩니다.
발전기는 이렇게 생성된 전기를 전력망에 공급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풍력발전기의 전기생산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풍력발전기의 주요 부분인 날개(로터 블레이드)는 바람의 힘을 받아 회전합니다.
날개가 회전하면, 이 회전력은 축(스핀들)으로 전달됩니다. 회전하는 축은 발전기의 회전 부분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발전기 내부에는 자석과 코일이 있습니다. 축이 회전하면서 자석이 코일을 지나가면 자기장 변화가 발생하고, 이 변화로
전류가 발생합니다. 즉, 회전하는 자석이 코일을 자극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원리입니다.
그리고 생성된 전기는 교류(AC)로 발생됩니다. 그 후, 전압을 적절히 조정하고 변환하여 전력망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위해 인버터와 같은 전력 변환 장치가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풍력발전의 원리를 쉽게 설명하면 회전에너지->전기에너지 로 변환되는 과정입니다.
보통 풍력발전기를 보면 선풍기 처럼 외부에 거대한 펜(블레이드) 가 달려 있습니다. 이것이 움직이면서 회전에너지가 만들어지는데 이것을 증폭시켜 직접 연결된 발전기를 돌리게 됩니다.
발전기가 돌아가게 되면 아파트의 놀이터에 있는 자전거를 돌리면 불이 켜지는 놀이기구 들이 있는데 그것과 마찬가지로 풍력에 의해 발전기가 돌아가면 발전기 내부의 코일이 돌아가면서 자기장이 변하게 됩니다. 이때 유도 전류가 흐르게 되는것이 원리 입니다.
그래서 이때 생성되는 전기를 전달하기 위해 보통 풍력 발전소 옆에 거대한 송전탑도 함께 지어지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