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은 남극은 잠시 머무른다고 하던데 남극을 벗어나서 어디서 주로 생활하는건가요?
펭귄은 남극에서 사계절내내 머무르는게 아닌 남극대륙에 잠시 머무른다고 하던데요.
그렇다면 펭귄은 남극대륙에 잠시 머무는 이외에 주로 어디서 생활하며 사는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펭귄은 남극대륙에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남극대륙뿐만 아니라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호주, 뉴질랜드 등 남반구의 바닷가에 서식하는 새입니다. 펭귄은 먹이인 물고기, 오징어, 크릴새우 등을 잡기 위해 바다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펭귄은 남극대륙에 머무르는 기간은 종에 따라 다릅니다. 황제펭귄은 겨울에 남극대륙에서 번식하고, 여름에는 먹이를 찾아 바다로 이동합니다. 아델리펭귄은 1년 내내 남극대륙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펭귄은 남극대륙에 잠시 머무는 것이 아니라, 바다와 육지를 오가며 생활하는 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펭귄은 주로 물고기,오징어, 크릴을 주식으로 합니다.
황재 펭귄은 주로 남극대륙에서 살펴 추운 겨울동안 얼음속에서 새끼를 키웁니다.
킹펭귄은 남극 반도와 남극해 주변의 섬들 중에서 사우스 조지아 섬에서 거주합니다.
갈라파고스 펭귄은 남극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갈라파고스 펭귄은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생활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난해 번식지인 남극 해빙(바다 얼음)이 급격히 유실되며 무려 최대 1만 마리에 달하는 새끼 황제펭귄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관측됐다.
해빙이 너무 일찍 녹아버린 탓에 새끼 펭귄들이 솜털을 벗고 방수 기능이 있는 성체 깃털을 갖추기도 전에 익사하거나 동사한 것으로 보인다.
남극 반도 서쪽 부분에 자리한 벨링스하우젠해 근처에서 발생한 이 끔찍한 사건은 위성 사진으로 포착됐다.
영국 ‘남극조사국(BAS)’ 소속 피터 프렛웰 박사는 이번 사건은 앞으로 벌어질 일의 전조에 불과하다고 경고했다.
해빙 유실: 스마일리섬에선 보통 황제펭귄 3000마리 정도가 태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남극의 해빙이 점점 사라지면서 2100년대 말이면 황제펭귄 군락의 약 90%가 번식에 실패해 사실상 멸종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프렛웰 박사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황제펭귄의 번식 주기는 해빙에 의존한다”면서 “해빙이 안정적으로 두꺼운 시기에 새끼를 낳아 기른다. 그러나 해빙의 면적이 줄어들거나 생각보다 더 빨리 유실되면 새끼들은 살아남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물론 희망은 있죠.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배출량 감축에 실패한다면 우리는 이 인상적이고도 아름다운 새를 멸종으로 내모는 셈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남극에서만 산다는 인식이 있지만 실제로 남극에서 사는 건 6종류뿐이고 나머지 종류는 남반구 여기저기서 산다. 그중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나미비아, 아르헨티나, 호주 남부 지역이나 뉴질랜드 등에 서식하고 있다. 다윈의 진화론으로 유명한 갈라파고스 제도에도 한 종이 살고 있다. 심지어 하와이 마우이섬의 해변에도 서식하고 있는데 이 쪽은 사실 하와이 토착 동물은 아니고 특정 리조트에서 수십 마리를 데려와 그곳에서 지내도록 관리하고 있는 것이긴 하지만, 그만큼 종에 따라 서식처가 매우 다양하며 더운 지방에서도 잘 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극에서만 사는 황제펭귄, 임금펭귄, 젠투펭귄, 아델리펭귄, 턱끈펭귄, 마카로니펭귄 6종 모두 대형종이긴 하다. 그래서 대형종은 남극에, 중소형종은 남극 이외의 지역에 산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출처 : 나무위키 - 펭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