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해군에서는 왜 사령관에게 제독이라고 부르나요?
군대는 육군, 공군, 해군등이 있죠.
그런데 육군이나 공군은 제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데,
왜 해군만 사령관에게 제독이라는 용어를 쓰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목마른집게벌레123입니다
제독이면서 함장이나 선장인 경우는 거의 없다. 해군에서 제독은 전단, 함대 등 군함 다수로 구성된 세력을 통솔하는 직책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함대사령관이 어떤 군함에 승함하면 그 군함은 함대의 기함이 되겠지만, 함장은 함대사령관이 아니라 별도의 장교가 맡는다.
또는 해안경비대의 장성급 장교. 육군, 공군, 그리고 해병대 장성의 일반적인 칭호인 장군처럼, 제독은 해군 장성의 칭호이다.
안녕하세요. 덕망있는불독137입니다.
제독과 admiral이 동치된것은 근대 동서양 국가간 교류 속에서 발생한것이다 admiral의 역어로써 수사제독이라는 표현이 나타난다 수사(=현재의 해군)를 이끌며 감독의 의미가 붙게된다 다만 수사제독4자는 특히 일본어 기준에서 다음절 단어여서 여러모로 불편하였으므로 수사를 빼고 2글자로 줄여 제독이라는 단어를 쓰기 시작했고 이를 근대화하는 자국 해군의 장성을 가르키는 표현으로 사용하였다
안녕하세요. 밝은물수리122입니다.
근대이후 해군에서는 장성(준장, 소장, 중장, 대장, 원수)을 제독이라고 호칭한다. 동양에서 제독은 수군을 지휘하는 직책이고 해군을 복무한 사람이라면 대한민국사람이 누구나 준경하는 이순신장군을 제독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