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의 '그린스마트도시' 프로젝트에서 활용될 주요 기술들은 무엇이며, 이 기술들이 기대하는 효과는 무엇인가요?
부산광역시가 '그린스마트도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하는데요.
부산광역시의 '그린스마트도시' 프로젝트에서 활용될 주요 기술들은 무엇이며, 이 기술들이 기대하는 효과는 무엇인가요?
부산 그린 스마트 도시는 태양광ㆍ풍력 에너지는 물론 폐수와 쓰레기도 리사이클링 90%를 목표로 해야 하는데 화석에너지는 사용하지 않고 하수 물도 정화하며 해상도시는 모두가 참여하는 플랫폼 친환경 도시를 지향하는 것이고 그 주요 과제는 탄소중립 지속가능한 해상도시’의 실현 촉진 방안을 고민하는 파트너와 기술 플랫폼이고 연안 생태계 파괴도 막고 생물다양성 증진도 고려한다고 합니다.
스마트 그린시티란, 지속가능성과 탄소중립의 원칙을 준수하는 도시계획 및 설계기술을 적용하고, 이를 지원해 줄 수 있는 ICT 기반의 운영관리 스마트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계획하는 융·복합형 도시이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가 감지되면서 기후변화 대응 중요성이 증대되었고, 이산화탄소 저감대책 마련에 전 세계적인 관심이 쏠리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지속가능한 성장 전략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됨에 따라 ‘스마트 그린시티’ 구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스마트 그린시티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효율성 증대 및 탄소배출 저감, 도시경쟁력 강화, 삶의 질 증대 등을 목표로 한다.
대표적인 해외사례로는 말레이시아의 Forest City가 있다. 수직 녹지를 조성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며, 차량이 공원 아래로 통행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차량, 대중교통 및 도보, 녹지공간이 분리되도록 다층 구조의 설계방식을 적용하였다. 또한 첨단 스마트기술을 사용하여 도시운영체제 및 자원 네트워크를 관리함으로써 자원순환 및 오염정보를 집계하고 예측·관리하여 탄소저감을 위해 힘쓰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린 뉴딜정책에서 스마트 그린시티의 도입 논의가 제시되어 대상지 25곳을 선정하였고, 회복력, 저배출, 생태복원, 인간 중심의 4대 분야를 토대로 추진 중이다. 도입 전략으로는 IoT 기반 환경통합 플랫폼 구축, 옥상·벽면 녹화시설 등 그린인프라 설치, 스마트 물관리 및 대기관리시설과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폐기물 재이용 순환시설 설치 등이 있다. 이처럼 환경오염을 예측하고 관리함으로써 연간 2만 7천t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