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그지없다'의 그지는 끝의 옛말이었나요?
세월이 지나도 끝이 없이 계속되는 표현을 '그지없다'라고 하더라고요.
'그지'가 약간 '그만'이나 '그치다'랑 유사한 단어였어요.
그런데 끝의 옛말이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의 석보상절 등 그지없다는 어휘가 쓰인 예문을 보면 '그지'는 '끝이' 쉬운 발음으로 변한 표기 입니다. 끝이 없이 무한하다, 한량없다는 표현에 두루 쓰인다고 합니다. 비슷한 경우로 가이없다는 말이 있는데 여기서 역시 끝이란 뜻 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지없다는 '끝이 없다’라는 뜻을 가진 표현입니다. '그지’는 '끝’이라는 뜻의 고유어입니다. <석보상절>에서 '그지없다'란 어휘가 등장하는 데 '그지'는 '끝이'를 쉬운 발음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즉 '그지없다’는 '끝이 없이 많다’, '한량없다'라는 표현에 두루 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