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우렁찬관박쥐215
우렁찬관박쥐215

전이 금속의 전자 배치 관련한 궁금증

전이 금속인 24번 원소 Cr 원자의 전자배치는 [Ar]4s²3d⁴가 아닌 [Ar]4s¹3d⁵로 예상되는 이유가 아래 두 가지가 있죠.

첫째) 전이 금속에서 4s와 3d 오비탈의 에너지는 매우 비슷하다

둘째) [Ar]4s²3d⁴의 전자배치는 [Ar]4s¹3d⁵ 전자배치에 비해 전자간 반발력이 크다


여기까지는 이해가 되는데요, 29번 Cu의 전자배치가 [Ar]4s²3d⁹가 아닌 [Ar]4s¹3d¹⁰으로 나타나는 이유가 잘 납득이 되지 않습니다. 두 전자 배치 모두 홀전자가 하나인데, 두 전자배치에서 3d오비탈 전자간 반발력이 4s오비탈 전자간 반발력보다 작아서 두번째가 더 안정하기 때문인가요? Cu의 전자배치가 이렇게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전이 금속인 24번 원소 Cr의 전자배치가 [Ar]4s¹3d⁵로 예상되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로 전이 금속에서 4s와 3d 오비탈의 에너지는 매우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전이 금속의 특성으로 4s와 3d 오비탈이 서로 균형을 이루며 전자를 채우게 됩니다. 따라서 [Ar]4s¹3d⁵의 전자배치가 더 안정하고 가능한 것입니다.

    둘째로 [Ar]4s²3d⁴의 전자배치는 [Ar]4s¹3d⁵ 전자배치에 비해 전자간 반발력이 크다는 것입니다. 이는 전이 금속의 전자배치에서 4s 오비탈에 있는 전자가 3d 오비탈에 있는 전자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r]4s¹3d⁵의 전자배치가 더 안정하고 가능한 것입니다.

    그러나 29번 원소인 Cu의 전자배치는 [Ar]4s¹3d¹⁰로 나타나는데 이는 [Ar]4s²3d⁹보다 전자간 반발력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이는 전이 금속의 특성으로 4s와 3d 오비탈이 서로 균형을 이루며 전자를 채우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Ar]4s¹3d¹⁰의 전자배치가 더 안정하고 가능한 것입니다.

    이처럼 전이 금속의 전자배치는 그 특성으로 인해 예상과 다른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전이 금속의 전자배치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점이며 Cu의 전자배치가 [Ar]4s¹3d¹⁰로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해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Cu의 전자배치가 [Ar]4s²3d⁹ 대신 [Ar]4s¹3d¹⁰로 나타나는 이유는 주로 안정성 때문입니다. 3d 오비탈이 완전히 채워지게 되면 더 큰 안정성을 얻습니다. 이는 쌀쌀한 예외로 d 오비탈에서의 전자 배치에 의한 효과를 보여주는데, 완전한 d 오비탈은 전자 배치의 대칭성을 극대화하여 분자 전반적인 안정성을 더욱 증가시킵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쿨롱의 전자간 반발력에 의한 효과가 감소할 수 있으며, 어떤 특정 대칭성에 의해서 시스템이 더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Cu는 전자 배치를 다르게 가지며, 이는 화학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결과로 이어집니다. 전자 배치의 예외들은 화학 및 전자기적 특성에서 물질의 독특한 성질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