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귀한아비83
귀한아비83

근현대사에서 우리나라에선 계엄이 언제있었나요?

이번 윤석열씨 계엄으로 나라가 엉망인데요.

역대 근현대사에서 우리나라 계엄은 언제 누가 어떤이유로 발생 했었나요? 경제가 너무 어렵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알뜰한발구지212
    알뜰한발구지212

    계엄이 웬말입니까? 나랏일 잘해서 모두가 걱정없는 대한민국을 만들어 주기를 바라는데 본인들의 욕심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걱정을 안겨주는 행위는 절대 용납하기가 힘들군요.

  • 우리나라에선 1950년대 이승만 대통령때랑 박정희대통령때 계엄을 했는데 그때 당시에는 무지하고 정보에 취약해 하라하면 그냥 했어요

  • 현대사회에서 계엄을 한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생각하는데요. 윤석열이가 이번에 계엄을 하기전 전두환이가 계엄을 해서 정권을 잡았잖아요

  • 역사적 사례:

    - 1948년: 여수·순천 사건으로 최초의 계엄령 선포.

    -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박정희가 비상계엄 선포.

    - 1972년: 유신헌법 제정 시 계엄 선포.

    - 1979년: 부마항쟁 및 박정희 암살 후 계엄 확대.

    -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전두환 신군부의 계엄 확대.

    최근 사례 (2024년 12월 3일):

    -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으나, 국회가 결의안을 통해 해제를 요구하고, 대통령이 이를 받아들여 계엄은 해제되었습니다. 이는 정치적 불안정과 시민 저항을 억누르기 위한 시도로 해석되며, 주요 언론과 정치인들이 비판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풍성한바다사자입니다.

    이번에 비상계엄령으로 인해서 많이 놀라셨을 것입니다. 살면서 계엄령을 알게 되기란 너무 옛날에 벌어진 일들이라 없을 줄 알았는데 신기하고 믿기어려운 일인것 같아요.

    우리나라는 옛날에 이승만 초대대통령 시절이나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에 계엄령을 했던것 같아요.

  • 우리나라에서 1950년대에는 계엄령을 많이 했습니다. 초대대통령인 이승만 대통령 그리고 박정희전 대통령 등이 계엄령을 했습니다. 그 당시에는 우리나라에서 정보에 대한 부분도 약했고, 나라에서 그러라하면 그려려니 했던 시기일 것입니다. 

  • 우리나라에 비상계엄은 1948년 이승만 대통령이 건국하고, 그때 항공세력과 치안 질서를 유지하고자, 몇번계엄을 하였고, 1961년 군사혁명을일으킨 박정희 소장이 대통령이되고 전권을 잡으면서 수차례 계엄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이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 읫내 피살되자, 그걸 수사하느라고, 비상겸이 선포 됐으며, 그래서 이 사건을 수사하던 보안 사령관 전두환이 정성화 경험 사령관을 체포하면서 비상계엄을 선포하였습니다,

    그리고 2024년 12월 3일 윤석열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였습니다

  • 우리나라 계엄발령은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이번 윤석열 이렇게 있었지요. 대통령의 권한이기에 특변한 일이 있으면 가능하겠지만 평화로웠음 좋겠네요~~

  • 계엄은 어떤 특정지역에 또는 전국에 발령할수 있습니다.

    역대 계엄 발령 내역 입니다.

    1. 1948년 여수,순천 일대 계엄- 이승만

    2. 1948년 제주 4.3사건시 - 이승만

    3. 1950년 한국전쟁당시 - 이승만

    4. 1952년 부산,경남,전라도 일대 -이승만

    5. 1960년 4.19 혁명 당시 서울지역- 이승만

    6. 1961년 5.16 정변 전국 - 박정희

    7. 1964년 6월 항쟁 ,한일회담 반대시위.서울- 박정희

    8. 1972년 10월 유신선포 - 박정희

    9. 1979년 10월 부마항쟁, 박정희 서거 제주도 제외-박정희 (서거당시),최규하

    10. 1979년 12월 12.12구테타 전국 확대-최규하, 전두환

    11. 2024년 12월 - 윤석렬

  • 안녕하세요. 정성들여서 답변 드리는 사람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계엄령은 1948년 이승만 대통령 시절 여수·순천 사건 때 선포되었어요. 당시 제주 4·3 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한 무력 충돌이 발생했기 때문이었죠.

    개인적으로는 박정희 전 대통령 시기가 계엄령을 가장 많이 활용했던 것 같아요. 5·16 군사정변 이후에는 비상계엄 12일, 경비계엄 558일이나 지속되었고, 한일협정 반대 시위나 부마항쟁 때도 계엄령을 선포했답니다.

    이번 계엄 사태로 우리 경제가 많이 흔들리고 있어요. 외국인 투자자들이 자금을 빼고 있고, OECD에서는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수도 있다고 하네요. 이런 정치적 불안이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걱정이에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대한민국 계엄 역사는 1948년 여수 순천 사건을 계기로 있었구요. 6.25, 4.19, 5.16, 10월 유신, 부마 민주항쟁 등 주요 정치적 사건들과 맞물려 총 16차례 선포되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질문자분께서 언급하신 대로 계엄은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던 중요한 사건입니다. 우리나라 근현대사에서 대표적인 계엄 사례로는 1948년 제주 4·3 사건과 1972년 유신 체제,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이 있습니다. 이 시기에 군사정권은 정치적 불안정이나 폭동 등을 이유로 계엄을 선포했습니다. 최근 경제 상황과 관련해 여러 어려움이 있지만, 여러 분야에서 협력해나간다면 극복해 나갈 수 있을 겁니다. 질문자분의 궁금증이 조금이나마 해소되었기를 바랍니다.

  •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총 10번의 계엄령이 있었습니다.

    이승만 정권에서 4번, 박정희 정권에서 4번, 전두환 정권에서 1번

    그리고 윤씨의 1번입니다

    윤씨 이전의 계엄령은 모두 제주 4.3 사건, 부산 정치 파동

    4.19혁명, 10월 유신 등등

    정치 관련 문제로 인한 계엄이었으며

    그중 최장기간 계엄은 5.16군사 정변 이후의 이뤄진 계엄입니다

  • 계엄령은 이승만정부,박정희 정부,전두환정부에서 가끔 발동했어요.

    당시에는 독재정부라 학생들이 데모도 많고 해서 발동이 많았어요.

    노태우 정부, 이후로는 윤석열정부가 최초입니다.

    윤석열처럼 친위쿠데타 성격의 계엄령은 이승만정부에서 발동한적이 있고 박정희정부도 계엄령을 발동하여

    유신헌법을 통과시켜서 절대권력을 얻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