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바다에 철을 많이 뿌리게 될경우 어떤 과정으로 이산화탄소를 줄인다는건가요?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한 방법중에 하나가 바다에 철을 많이 뿌리는 방법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바다에 철을 많이 뿌리게 될경우 어떤 과정으로서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는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바다에 철을 뿌리면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이 촉진됩니다. 이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합니다. 이렇게 성장한 플랑크톤은 죽은 후 바닷속 깊은 곳으로 가라앉으며 그 과정에서 흡수한 이산화탄소도
함께 해저에 저장되게 됩니다. 이렇게 해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일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바다에 철을 많이 뿌린다면 철분이 부족한 바다에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이 촉진됩니다.
이는 플랑크톤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작용하여 플랑크톤 양이 증가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방출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방식이 해양 생태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지구 산소의 약 20%를 식물성 플랑크톤이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로인해 철이 부족한 바다에 철을 뿌리게 되면 식물성 플랑크톤이 광합성을 하는데 필수적인 영향소이기 때문에 활동이 증가하여 성장을 촉진시켜 바다속과 대기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철을 활용하여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을 위한 해양 비료화 또는 철비료 실험은 지구온난화를 막는데 필요한 기술이라 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