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붉은 팥이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는 것은 어디서 유래했나요?

요새도 동지에 팥죽을 쒀 먹고는 하는데, 귀신을 쫓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붉은 팥에는 귀신을 쫓는 힘이 있어서 그렇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이 유래는 어디서부터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지팥죽은 먼저 사당에 올려 천신한 다음 방, 마루, 광, 헛간, 장독대, 우물 등에 한 그릇씩 놓으며 팥죽을 그릇에 담아 들고 다니면서 대문, 벽에 뿌리고 난 후에 사람이 먹습니다.
    이렇게 하면 액이나 질병이 없어지고 잡귀가 근접하지 못하고 사라진다는 데서 연유합니다.

    『형초세시기』에 기록된 동지팥죽의 유래담은 『동국세시기』에 그대로 인용되어 있는데 내용은 지극히 짧습니다. 옛날 공공 씨(요순시대에 형벌을 맡았던 관명에서 비롯한 성씨)에게 바보 아들이 하나 있었습니다. 그 아들이 동짓날에 죽어 역질 귀신이 되었는데 생전에 팥을 두려워했으므로 동짓날 팥죽을 쑤어 물리쳤다고 합니다. 이 유래담을 통해 팥이 예전부터 악귀를 예방하는 의미가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붉은팥의 붉은 색이 귀신을 싫어하는 색이라 하여 고사떡에 쓰이고,예로부터 팥시루떡은 액운을 쫓고 귀신을 달래며 악귀를 쫓는 음식으로 주로 등신제(추수를 끝내고10월 상달에 집안이 모두 편안하기를기원하거나, 부락의 연중무병과 평온무사 및 풍년을 기원하던 제)때 켜를 두툼하게 하여 만들어 먹었습니다.잡귀를 쫓는 의미로 일년중 밤이 가장 긴 동지날에 잡귀가 많다고 생각하여 팥죽을 끊여 먹음으로써 악귀를 쫓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팥은 겉 표면이 붉은색을 띄고 있어 잡귀를 쫓아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예로부터 조상들은 동짓날 붉은 팥죽을 쒀서 사람이 드나드는 대문 등에 뿌림으로써 부적을 대신해 귀신을 쫓고 재앙을 면하려 했다고합니다. 우리나라의 전통적 귀신인 도깨비도 좋아하는 메밀묵을 먹으러 마을로 내려왔다가 장독대에 놓인 팥죽을 보고 도망간다는데, 잡귀를 쫓아주는 팥은 체내 노폐물을 밖으로 배출시켜주고 피로를 쫓아내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해준다. 각종 질병이 귀신에 의한 것이라 믿었던 시절에는 정말로 팥이 귀신을 쫓고 역병을 물리쳐주는 곡식이라 여겼을지도 모른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귀신은 붉은 색을 싫어하고 이에 따라서

    팥 등을 이용하여 귀신을 쫓은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에서 왔다는 게 유력합니다. 중국 7세기 자료 형초세시기 라는 책에, 중국 요순시대에 형벌을 담당하는 공공씨 라는 사람의 아들 중 방탕한 하들이 있었는데, 이가 죽어 역귀가 되었고, 이 아들이 살아 생전에 붉은 팥을 드려워 해서 동짓날에 팥죽을 만들어 먹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 형초세시기에 의하면 공공씨의 망나니 아들이 동짓날 죽어 역신이 되었고 그 아들이 평시 팥을 두려워해 역신을 쫓기 위해 팥죽을 쑤어 악귀를 쫓았다는 기록이 전해집니다.

    예로부터 팥은 양을 상징하는 붉은색을 띄고 있어 귀신이나 잔병, 액귀 등 액운을 쫓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